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밀기계용 플라스틱재료의 기술동향(Trends in Plastics for Precision Machines)

전문가 제언
□ 베어링은 저마찰계수, 저마모율이 요구되고 고분자 복합재료들은 마찰부위에 응용되고 고분자재료에 첨가제와 보강제를 넣어 강도와 미끄럼마모, 연마마모, 충격마모 등 마찰 마모특성을 향상시키는 자체윤활 보강플라스틱 구동재료의 개발이 재료메이커, 플라스틱베어링메이커에 의해서 더욱더 활성화되어야 한다.

□ 베어링은 마찰계수와 마찰속도의 관계에서 마찰진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마찰특성이 요구된다. 플라스틱재는 강재보다 열전도도계수, 강도, 열변형온도가 낮은 반면 전기적, 화학적 안정성과 마모저항이 높기 때문에 마찰재료의 용도로써 적합하다. 마찰성능을 향상, 마모를 최소화, 마찰손실의 감소화, 각 부품기능의 요구특성에 맞는 수지(resin)를 선정하여야 한다.

□ 마모저항이 높은 플라스틱 베어링 재료로써 polyester, PA(polyamide), PTFE(polytetrafluoroethylene),PI(polyimide),PF(phenolformaldehyde), POM(polyoxymethylene),PEEK(polyesteresterketon),LP(liquidpolymer),PF(epoxyresin),PPS(polyphenylenesulfide),TPI(thermoplasticpolyimide) PAI(polyamideimide)등의 각종복합재료, 고분자공중합체 등이 베어링재료로서 사용되고 브레이크, 클러치에는 PF수지가 모재로써 사용되고 보강을 위해서 유리섬유가 이용되며, 고온에서 마찰계수가 저하하지 않는 것, 마찰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베어링재료의 성질로서 중요하다. 따라서 자기윤활성을 가진 베어링재료에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베어링은 건식(dry bearing)재료로 사용되는 고분자재료에서 GF는 유리섬유, CF는 carbon섬유, k,Ti는 치탄산칼리위스커, POB는 폴리파라오키신벤졸, Gr는 graphite, KeVF는 케브러섬유로 표기하며 PTFE-PPS15, PTFE-PPS15-Gr10, PTFE-Gr15복합재료의 마찰계수 및 비마모량과 온도의 관계에서 PTFE-PPS15-Gr10, PEEK-PTFE15는 523k정도의 온도까지는 10-6 ㎣/Nm정도의 비마모량이다. 이것들은 저마모율을 나타낼 때는 상대aluminium의 거칠음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저자
Yoshitaka Uchiya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49(8)
잡지명
트라이볼로지스트(A05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32~637
분석자
임*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