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콥터 동태 관리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소방방재를 위한 헬리콥터는 산불화재의 공중진화, 환자의 긴급수송, 산림이나 해양에서의 실종자의 수색, 구조대원과 구원물자의 수송 및 정보수집 등에 필수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재해를 일으킬 수 있는 폭풍이나 지진이 발생한 경우에는 더욱 효용가치와 효과가 높아진다. 이러한 긴급 구조상황에서 헬리콥터의 동태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활용하면 수많은 인명과 재산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 한국은 국토면적이 좁고 산악지역이 많고 인구가 밀집되어 있어 점을 고려하면 헬리콥터의 활용과 효용가치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 나라이다. 헬리콥터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서는 전국적으로 집중 활용할 수 있는 체재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 소방방재에 사용되는 헬리콥터는 기종과 장비품의 종류 및 적재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소형 헬리콥터에도 동태관리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는 장비품의 종류와 적재상황에 대하여 표준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다. 특히 탑재장치를 소형화하여 조기 실용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구조정보시스템 등과의 연결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되어 있다.
□ 헬리콥터에 탑재하는 위성통신, 기상(機上) 장치 및 지상(地上) 장치의 3부분을 서로가 완벽하게 연결할 수 있는 통신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세계적으로 자기 나라에 맞는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으며 현재 일본에서도 실증실험을 마친 단계에 있다. 이 시점에서 한국 실정에 맞는 독창적인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일이다.
□ 향후에 헬리콥터의 동태관리시스템은 헬리콥터의 운항지원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인프라로서 주목되고 있다. GPS를 이용한 계기비행방식(IFR)화의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는 시점에서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하게 운항을 할 수 있는 신제품의 개발과 제조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 저자
- Edito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593)
- 잡지명
- 항공기술(A08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42~48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