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콥터의 환경적합성 저소음화 기술
- 전문가 제언
-
□ 헬리콥터는 고정익 항공기에 비하여 비행방법이 매우 다양하여 수직이착륙을 비롯해 정지비행, 전후진 비행, 횡진 등이 가능한 특수목적 및 일상생활에서도 매우 유용한 항공기이며 이와 같은 비행경로를 가진 항공기로서는 수직이착륙기(Vertical Short Take Off and Landing, VSTOL)가 있으나 헬리콥터처럼 다수의 인원수송이나 중량물 탑재에는 매우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수직이착륙기로는 영국의 전투기 헤리어가 있다.
□ 헬리콥터의 소음은 비단 헬리콥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고정익을 가진 거의 모든 항공기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다만 고정익 항공기는 긴 활주로를 필요로 하는 만큼, 시 외곽지역에 공항이 위치해 있는데 반해 헬리콥터는 그 다양한 용도에 따라 기능상 공항 이외의 장소, 민가에 인접하게 이착륙한다는 점이 소음문제를 더욱 크게 부각시키는 요인이 된다.
□ 초창기에는 헬리콥터가 소음문제 보다 기능성의 우위로 인해 소음자체는 별 문제시 되지 않았으나 점차 대중의 생활 속으로 헬리콥터의 유용성이 파급되면서 이용자가 늘고 도심 한가운데 이착륙이 가능해짐으로써 소음이 새로운 문제점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 본 고에서 헬리콥터의 소음원이 구체적으로 파악되고 이에 대한 대책도 제시되었다. 특히 주 회전익 끝의 전진돌출 형상에 대해서는 이미 미(美) 군용기에서는 실용화되어 사용 중인 바, 전투헬기의 고속 비행시 발생하는 매우 큰 충격소음이 초기부터 문제점으로 부각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제 도시민의 출퇴근용으로까지 이용되고 있는 헬리콥터는 앞으로 더 많은 공기역학적 실험과 연구 분석을 통하여 더욱 안락하고 조용한 수송수단으로 자리 잡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 저자
- Saito Shiger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593)
- 잡지명
- 항공기술(A08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25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