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다관식 관류보일러에서의 고압 응축수 회수(Heat Recovery System of High Pressure Condensate on Drumless Water Tube Boiler)
- 전문가 제언
-
□ 종전의 대형 다관식 관류보일러는 증기에 대한 부하수요가 급격하게 변동하는 것을 수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대기개방형의 급수탱크를 사용함으로써, 응축수가 지닌 현열을 적절하게 이용하지 못하고, 이에 따른 에너지의 손실이 있었다.
□ 그러나 이런 용도의 수요는 대부분 최대환산 증기발생량 2t/h의 소형의 다관식 관류보일러를 여러 대 설치하여, 급격한 부하변동에 대비케 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며, 대형의 다관식 관류보일러의 입지를 위협하고 있다.
□ 일본의 Kawaju 냉열공업(주)은 대형 보일러시장에서의 경쟁을 위하여 IF 시리즈라고 알려진 증기발생량 4,000~6,000kg/h의 대형 다관식 관류보일러를 개발하였다. 이는 급수탱크를 가압시켜, 급수탱크에서의 순간기화로 인한 증기의 발생을 피하여, 응축수가 지닌 에너지를 최대한으로 활용키 위한 것이다.
□ 연통연관보일러나 수관보일러는 그 자체의 용적이 커, 계통이 환류하는 응축수의 유량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가지고 있지만, IF 시리즈의 수관식 관류보일러는 계통의 유량변동이 극히 안정된 산업에만 적합하여, 이러한 산업에서 다른 종류의 보일러와 경합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그러나, 계절별 옥은 시간대별로 증기의 부하수요가 크게 변화하는 산업에서는 증기 어큐뮬레이터 등을 병용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 보일러가 적합하지 않다.
- 저자
- Osamu TO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326)
- 잡지명
- 보일러연구(G27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5~32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