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크레인의 인버터 도입에 따른 전자양립성

전문가 제언
□ 크레인에는 2차 저항제어를 사용한 권선형 유도전동기나 고기능 크레인에는 직류전동기가 사용되어 왔으나, 한편으로 벡터제어나 디지털제어 등의 새로운 제어기술이 발전해서 고성능 가변속구동이 실용화되어, 일반산업계에서는 인버터제어의 농형 유도전동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황 하에서 크레인에 인버터의 적용도 확대되고 있다.

□ 크레인에도 전자장치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전자소음의 영향에 의해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서는 크레인에 인버터사용에 따른 유의점으로 전자양립성(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에 대한 개요를 소개하고 있다. 토공기계의 EMC 규격이 정해져 있어 개요를 소개한다.

○ 방사(emission): 전자 방사의 한도값은 토공기계와 안테나 간의 거리가 10m인 경우 방해파 전계강도(dB(μV/m))의 한계값을 주파수(MHz)에 따라 준 피크값(광대역, 협대역)을 보이는 자료가 있다.

○ 면역성(immunity)
- 방사 전자계: 토공기계에도 전자장치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전자소음의 존재 하에 있어서도 성능을 저하시켜서 동작하기 위한 능력으로 어떤 면역성이 구해지고 있다. 방사 전자계에 대한 면역시험은 ISO 11451-1 및 11452-2의 수직 및 수평면에 따라 행한다.
- 정전기: 대전한 운전자 등에서의 정전기 방전에 관한 영향에 대해서는 토공기계 혹은 구성부품에 있어서 IEC 61000-4-2의 방법을 사용하여 면역성 시험을 실시한다.
- 과도전도성 소음: 과도적인 전도성의 소음에 대해서는 ISO 7637-0, ISO 7637-2에 정해진 방법에 따라, 기계상태 등급 Class A로의 시험레벨 I을 적용한다.

□ 전자양립성은 기기에 허용값 이상의 전자방해를 받지 않을 때, 그 전자 환경에서 만족하게 기능하는 기기, 장치 또는 시스템의 능력이라 정의되며, 전자적 양립성이라고 한다. 크레인에 인버터 도입에 따른 유의점으로 EMC를 배려함으로써 작업이 안전하게 효율적이 되기를 바란다.
저자
Hajime Tomi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2(8)
잡지명
크레인(N089)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1~26
분석자
남*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