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합금 설계를 위한 다원계 합금에서의 확산(Diffusion of multi-component alloys for design of practical alloys)
- 전문가 제언
-
□ 실용적인 관점으로 보아, 철과 비철합금에 관한 확산의 연구는 대부분이 2원계 이하의 확산연구였다. 그러나 공업 상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다원계 합금인데, 이것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자료는 다원계에 대한 실용합금의 설계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필수적인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 다원계 합금에 의한 상호확산실험과 그 데이터 해석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들여야 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러한 합금에 관한 상호확산계수 등의 데이터 축적량은 충분치 않았다. 그러나 최근의 컴퓨터의 발전과 EPMA측정에서의 조작성의 향상 등에 힘입어 다원계 확산연구도 비교적 빠른 속도로 진행될 가능성이 많아 조금만 관심만 기울이면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최근에는 실용합금의 설계를 위하여 열역학적 계산의 기술인 “Thermo- Calc"와 상변태 해석 시뮬레이션기술인 ”DICTRA“ 등이 개발되어 계산에 의한 상태도, CCT도 등이 얻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계산기술을 실시하는 데에는 합금 중의 열역학 데이터, 확산계수 등의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층 더 신뢰성을 가지는 계산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에 관련된 데이터를 보다 많이 축적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 재료의 물성 해명, 제조ㆍ사용 및 새로운 재료의 개발에 있어서 확산에 관한 기초지식은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실용합금설계를 위하여 각 합금의 다원계에 의한 확산연구를 향후에도 계속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특히 Ti 다원계 합금에 있어서는 확산에 관한 데이터가 적기 때문에 한층 더 상호확산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망된다.
□ 고체합금 중에 있어서 구성성분의 열역학적 데이터를 실험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상호확산실험에 의한 확산계수에서부터 열역학적 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합금의 조성역을 확대하여 반응확산의 상호확산시험을 행하거나 상태도의 상(相) 경계조성의 결정 혹은 고압실험 등을 행하면 새로운 상의 발견의 가능성도 있다.
- 저자
- TAKAHASHI Tomo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74(9)
- 잡지명
- 금속(A11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05~910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