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미래의 획기적 재료 슈퍼 메탈 : 알루미늄계 슈퍼메탈의 기초지식(특집: 근미래의 획기적 재료 슈퍼 메탈)
- 전문가 제언
-
☐ 최근 재료의 경량화와 고성능화의 요구에 맞추어 결정립을 비약적으로 미세화하는 방법을 구축하고 초미세립 재료의 강도, 연성, 성형성, 내식성 등의 특성을 평가 및 해석하는 슈퍼메탈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결정립내, 입계 및 입계 근방에서의 나노스케일의 석출제어와 특성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나노메탈 프로젝트와 자동차용 합금의 고성형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결정립과 집합조직을 제어하는 자동차 경량화 프로젝트가 정력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 항공기, 철도차량, 자동차 등의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결정립의 미세화를 통해 재료의 고강도·고성능화를 이루는 방법은 합금원소를 첨가하는 방법에 비해 환경친화적인 재료개발 기술이다. 현재 일본을 비롯한 기술 선진국은 “슈퍼메탈 프로젝트”, “나노메탈 프로젝트” 등을 통한 경량합금의 개발, “철계 특수 메탈 프로젝트”를 통한 철강재료의 초세립화 기술의 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 1㎛ 이하의 미세 결정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출물과 석출물이 효과적으로 핵생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알루미늄의 경우, 슈퍼 알루미늄 프로젝트를 통해 결정립의 초미세화를 목표로 연구 중이며, 나노메탈(알루미계)에서는 나노 석출조직의 제어를 통해 석출강화와 연성의 실현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초미세립 합금재료의 개발기술을 대량생산이 가능한 실용화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압연생산 시스템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또한 우수한 기계적·야금학적 특성을 갖춘 초미세립 합금재료를 실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용접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레이저 빔 용접, 저항용접, 마찰교반용접과 같은 첨단 접합가공 시스템의 적용기술을 동시에 개발해야 한다.
- 저자
- Kiyofumi I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36(8)
- 잡지명
- Plant engineer(N26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2~26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