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주목하는 핸드폰 대국, 한국과 중국
- 전문가 제언
-
□ 198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는 전파 월경에 대한 우려 등 이유로 일반인의 무선통신 이용이 크게 제한되었으며, 그 결과 우리나라 무선통신 분야는 불모지와 다름없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아날로그 AMPS 방식의 핸드폰 서비스 도입이 허용되면서 무선통신 분야는 큰 전환기를 맞아 세계 최초의 디지털 CDMA시스템 개발과 서비스의 성공적인 제공으로 서비스 및 기술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 가입자 수의 측면에서도 아날로그 방식의 핸드폰 가입자는 매우 적은 수에 머물러 있었으나, CDMA 방식의 디지털 셀룰러시스템이 상용화 된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핸드폰의 대중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가입자 수가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현재 성인은 물론 청소년들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핸드폰 가입자 수가 급증하였다.
□ 1990년대 중반부터 3GPP와 3GPP2를 중심으로 실제적인 표준화에 착수한 IMT-2000, 즉 3G이동통신은 현재 3GPP의 W-CDMA와 3GPP2의 CDMA2000 표준, 이들의 진화표준인 고속 패킷전송을 위한 HSDPA, EV-DO 및 EV-DV 규격이 제정되어 개발된 상태이다.
□ 3G이동통신 이후 B3G시스템을 위한 기술개발과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선진국들은 B3G시스템에 관련된 핵심 요소기술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B3G의 요소기술 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Takebe Keni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419)
- 잡지명
- NIKKEI communications(N20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6~56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