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생 가능 에너지 정책의 현황과 과제 : 일본과 독일의 비교를 통해

전문가 제언
□ 신재생에너지는 환경친화적이지만 화석에너지 등에 비해 공급비용이 높아, 선진국은 공급 촉진을 위해 보조금과 조세정책 등으로 지원한다.

□ 영국은 신재생에너지 보급 촉진을 위해 1990년부터 NFFO 실시 후 2002년 4월 RPS를 도입하여 2002년 3%에서 2010년에는 10.4% 목표이다. 미국은 2002년부터 텍사스주에서 RPS가 시행되고 있으며 2009년까지 200만kW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증설하며, 호주는 2001년 4월부터 RPS를 시행중이며 목표량은 2010년 95억 kWh이다.

□ 일본은 온실가스 6% 저감을 목표로, 2006년부터 1900만톤의 오염물질과 일본 연간 총배출량의 1.6%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배출권이 구매된다. Toyota, Sony 등 일본의 35개 대기업 및 단체들은 외국기업들로부터 지구온난화가스 배출권 매입을 위해 2004년 12월 1일 1억3천500만 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 2004년 10월 28일 ASEAN국가, 한국, 일본 등 12개국이 참석, 「ASEAN 3 신·재생에너지포럼」 창립총회를 서울에서 갖고 역내 국가들의 협력 채널로 발전시킬 것을 합의했다.

□ 한국은 2005년 예산에 2004년보다 35.9% 늘어난 2387억원을 반영하여 수소ㆍ연료전지, 태양광 및 해상풍력발전 등의, 기술연구개발 794억원과, 민간부문 지원금을 393억원으로 확대하여 2005년 태양광 주택 설치비의 70%를 지원한다. 민간부문 투자활성화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 등으로 대관령 등의 풍력, 매립지가스(LFG), 태양광 발전전력을 고가 구매한다. 이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이 2004년 2.4%에서 2.6%로 높아지고 석유 490만 배럴의 수입대체 효과를 전망했다.

□ 현재 한국의 신재생에너지전력의 차액보전제도는, 전기사업자에 대한 구속력이 없으며, 신재생에너지발전 비용절감의 인센티브가 약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최근의 시장효율성 중시와 자율적 인센티브 제도 도입추세에 부응하는, 국내 전력 시장에 적합한 RPS제도의 도입이 바람직하다.
저자
WADA Take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4(1)
잡지명
환경과 공해(A40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6~22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