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공공사업에서 양호한 경관만들기 :Landscape design of public works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는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기점으로 사회간접자본시설을 확충하면서 고도성장을 하게 되었고, 도로, 상하수도, 교량, 댐 등 공공토목사업의 계속에 따라 상당한 지역사회의 발전까지 이루고 있다.

□ 공공사업은 공익성이 특징으로서, 자연환경을 인간에게 유익하게 바꾸는 것인데, 그동안 속도와 기능 위주로 건설되어 많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 성수대교 사건을 계기로 이후의 모든 건설공사는 안전성을 높이게 되었는데, 공공사업은 기능과 안전으로 대변되고 있다.

□ 최근에는 도로건설 등이 생태계의 단절과 파괴를 가져오고 있는 등, 이에 대한 대책으로 건설기술 관리법에서도 일정 규모 이상 건설공사는 환경성을 검토하도록 하여, 이젠 기능과 안전성, 환경성 까지 갖추게 되었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에서 일본은 여기서 더 나아가 시빅 디자인을 도입하여, 미적인 감각을 살려서 도시의 경관을 개선하고, 국토경관을 고려한 아름다운 나라 만들기 운동으로 확대하고 있어서 느끼는바 크다고 본다.

□ 우리는 단지 조성계획 등에 시각, 미학적 접근이 있으나, 공공 공사에는 아직 이러한 미적 접근이 없는데,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도시생활공간에서 나름대로의 조형미를 갖추어 예술적으로 창조하는 미적 감각이 토목 기술자들에게 중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 차제에서 일본같이 공공 공사에도 미의 요소를 가미하도록 법제도적으로 나아간다면, 우리나라의 수려한 경관에 어울리는 공공시설물 도입에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저자
Kazuhiko SAKAKIBA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8)
잡지명
환경기술(G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01~605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