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 로더의 요구 변화와 제품 특징
- 전문가 제언
-
□ 휠 로더가 1960년 일본 내에 도입된 이래 건설 기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매년 10~15% 정도로 안정되게 유지하고 있다. 휠 로더(1.3~18㎥ 등급) 수요의 절대 수는 1990년에 6,800대, 2003년에 3,700대로 떨어지고, 차후에는 점차적인 감소를 보여 2010년에는 3,400대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다.
□ 휠 로더의 용도로 중대형기는 쇄석, 건재, 광산원석과 제품 적재에 사용하는 비율이 높으나, 소형기는 반수 가까이가 제설용도이고, 도로 조성, 축산 그리고 산업 폐기물 처리에 많이 사용되므로, 타 건설기계에 비해 건설 이외의 용도로 많이 전용되고 있고, 차후 산업 구조 변화에도 지속적인 수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고속 성장기에서 건설기계에 주어진 과제는 생산성 향상, 효율 개선이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거품 경기에는 보다 높은 생산성, 효율 개선 외에 작업자 환경 개선 및 작업성 향상이 건설기계 자체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차량 조작 자동화, 용이한 조작을 목표로 하였으며, 최근에는 배기가스 및 소음규제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여 전자 제어, 유압 장치 그리고 엔진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또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 고속 성장기를 지나 안정기에 접어들면 건설기계의 수요는 급격히 감소하고, 사용자의 요구는 점차 다양해지므로, 우리나라 유관업체도 보다 높은 생산성, 효율 향상 개선 외에 작업자 환경 개선과 작업성 향상이 필요하고, 환경규제와 도난 방지에 적극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특히 일본에서는 국토개발성(우리나라 건설교통부)에 의해 건설기계의 배기규제가 시행되는 것은 음미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Naoko Mi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0(9)
- 잡지명
- 건설기계(M16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11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