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기현 지진에서 배운다 : 2003년 5월 26일과 7월 26일 지진 개요
- 전문가 제언
-
□ 본보는 2003년 5월 26일 Miyagi(宮城)현 앞바다의 해양성 지진과 2003년 7월 26일에 Miyagi(宮城)현 북부 중심으로 한 직하형 지진으로 재해가 발생한 지역의 재해를 일본건축학회 재해위원회를 일본 동북지부 중심으로 구성하여 조사하고「2003년 5월 26일 Miyagi(宮城)현 앞바다의 지진 재해조사보고, 2003년 7월 26일 Miyagi(宮城)현 북부의 지진 재해 조사보고」로 2004년 3월 25일에 그 결과 보고서를 발행하였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5월과 7월의 지진의 규모, 지진으로 인한 피해 개요에 대한 기술한 것이다.
□ 본보와 아울러 양 지진으로 재해가 발생지역에서의 건축 기계설비 분야의 재해 상황과 원인 분석, 건축 전기설비 분야의 재해 상황과 원인 분석, 급배수 위생설비 분야의 재해 상황과 원인 분석, 정화조 설비 분야의 재해 상황과 원인 분석, 라이프라인의 피해와 피난 상황에 대해 조사 분석 한 보고서도 시리즈로 보고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지진 발생율이나 그 규모가 다소 작으나 안전하지 못하여 토목, 건축의 구조분야에서 대형 구조물에 내진, 내진이 반영되고 있지만 기타 설비분야에서의 내진 설계, 시공은 미약하다. 지진 재해로부터 안전이 필요한 구조물 혹은 시설물이나 장기 내구성이 요구되는 설비 기자재는 내진 등급이 고려된 내진 시설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시설 종류별 내진 등급은 방재 통제 시설이 있는 시설(A급), 피난 구호에 필요한 시설(B급), 일반시설(C급), 위험물 저장 취급시설(D급)로 구분하고, 대상 시설로서 A급은 정부 각 부처 보유시설, B급은 병원 경찰 및 소방관계 시설, C급은 일반관청, 문화시설, 하교, 사회복지시설, D급은 방사성 물질, 병원균, 화약 저장취급 시설, 석유, 고압가스, 독극물 저장시설로 구분한다.
- 저자
- Reiji Tana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2(8)
- 잡지명
- 건축설비와 배관공사(J18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5
- 분석자
- 문*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