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RO막에 의한 비소 제거의 이론과 실태

전문가 제언
□ 음용수에 포함된 과다 비소로 인체가 중독될 경우, 가슴 통증, 피부 흑변 및 각화 증상 등이 나타나며, 각종 암 발병과도 관계가 있다.

□ 배수 및 음용수 중의 비소 처리에는, 공침법, 응집 침전법, 이온교환법, 막 분리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 2002년 일본 Sanix사 자료에 의하면, 음용수중의 비소제거능력은 RO법>활성 알루미나법>공침법, 흡착여과법 순이며, 공칩법의 설비비를 100으로 했을 때, RO법 110, 활성알루미나 80, 흡착여과법 70이며, 운전비는 공침법 100일 때, RO법 90, 활성알루미나 60, 흡착여과법 40~60이며, RO법과 활성 알루미나법은 처리수를 재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 최근 비소 이외의 유해 유기화합물이나 경도 성분도 동시에 제거 가능한 RO막에 의한 처리가 주목 받고 있으며, RO막에 의한 비소 제거기구는, 막이 가지는 분자체 작용과 전기적 상호작용의 양쪽에 기인한다. 전기적 상호작용은, 막의 하전성이나 비소 화합물의 해리 형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pH나 공존물질 등의 수질조건에 의해 좌우된다.

□ NASA를 비롯한 대형 선박, 낙도의 수돗물 등에 채용되는 최첨단 정수 방식인, RO막은, 아질산성질소, 다이옥신, 불소 등도 제거하며, 자동운전화가 가능하고 시설 필요공간이 적어, 앞으로도 상당한 발전을 보일 것이다.

□ 희박용질 처리수의 효율저하 방지를 위해서는, 막분리법으로 대상물질을 분리시킨 뒤, 오존 등에 의한 분해처리 또는 활성탄 등에 의한 흡착처리도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또한, 처리수 중에는 각종의 현탁 물질, 용제성분, 이온 등이 포함되어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종 1차, 2차 처리법과 정밀여과와 한외여과 등의 전처리 여과장치를 적절하게 조합시켜, RO막의 현안문제인 설비비, 운전비 저감과 대형화를 위한 기반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저자
Kiyoshi IMAM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6(8)
잡지명
화학장치(A01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2~77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