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아염소산수로서 식품첨가물 지정된 산성전해수(Acidic Denkaisui(Electrolyzed water) Approved as a Food Additive with the Name of Hypochlorous Acid Water
- 전문가 제언
-
□ 산성전해수는 인체에 무해하며 잔류성이 없고, 소취력이 뛰어나며, 열 사용없이 살균가능하여, 사용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 1998년 EPA는 강산성전해수 생성장치를 「살균제 제조장치」로 인가, 1999년 FDA는 강산성전해수를 과일이나 야채의 세정 사용 인가, USDA는 1999년 생육(生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장내병원균 제거 목적으로 강전해수 사용을 인가했으며, 일본후생노동성은 2002년 6월 강산성전해수를 「식품첨가물」로 지정했다.
□ 2004년 1조원대의 한국의 먹는 물 시장은 200여개 관련업체가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여전히 정수기가 대세지만 정수기의 세균 검출 보도 등에 따라 이온수기 등의 새로운 시스템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 한국은 이온수기를 약사법 제2조 규정에 따라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의 치료·예방 등의 목적에 사용되는「의료용물질생성기」로 지정했다.
□ 바이온텍은 전해조 박리현상 문제를 10년 전에 해결했으며, 2005년형 신제품에는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1,4-다이옥산 제거필터 및 전해농도 자동제어시스템 채택 등 첨단제품화했으며, 이번에 경기도에 제2공장을 준공했다. 한독화장품은 필터의 교환시기 예보, 7단계 pH 조정으로 다양한 용도의 물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물의 입자를 최소화한 이온수기를 개발했다. 넥서스 이온수기는 고성능 전극 및 최첨단 격막 채용으로 맛과 환원력이 우수하며, 기존 이온수기의 치명적인 도금 현상의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개선해 세계발명특허 취득, ISO 9001, KS A9001 등의 등록을 마쳤다.
□ 산성전해수는 최근의 웰빙 추세와 함께, 용도 다양화 및 사용량 증가가 진행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관련기준 정비 및 보다 구체적인 규준화를 통해 변화추세에 부응해야 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상세한 사용설명서는 필수적이며, 제조사의 철저한 유지․관리․보수 이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과 함께, 사용자(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에 상응하는 전문지식의 체계적 배양 또한 필요한 시점이다.
- 저자
- Kunimoto HOT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79(922)
- 잡지명
- 냉동(A07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615~619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