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기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최근 기술과 미래 동향(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Indispensable to IT Equipment)
- 전문가 제언
-
□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아 전자 기기 소형화, 경량화를 주도하는 것은 사용하는 이차전지의 역할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Ni-Cd 이차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기술적 한계에 가까워지고 더욱 Cd에 대한 환경 문제가 있어, Ni-Cd를 대체할 에너지 밀도가 높은 새로운 이차전지 개발이 급히 요구되고 있다.
□ 본고에서는 니켈수소이차전지, 리튬이온이차전지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니켈수소이차전지는 밀도가 커서 무겁고 중량에너지밀도가 그렇게 크지 않아 전지 경량화로는 적당치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전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연료전지 발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리튬이온이차전지에 관한 연구를 더욱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 전지 안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이 순조롭게 일어날 수 있도록 이론을 구축하고 소니사의 LIB처럼 우리 고유의 이차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국가의 지원이 수립되어 있으나, 보다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지원해 이차전지에 대한 국가적 역량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Yoshio NI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42(2)
- 잡지명
- 표면(C1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5~61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