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의 에너지절약이 가져오는 열섬 현상 : 배열·기온 영향
- 전문가 제언
-
□ 인구의 도시집중에 의하여, 대도시의 도심은 녹지공간의 축소 및 건물의 고층화와 대형화를 부르고 있다. 이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여름철에는 도심지역이 주변지역보다 기온이 높은 이른바 열섬현상이 일어난다.
□ 열섬현상을 방지하는 확실한 방법은 녹지공간의 확보이다. 같은 대도시라 할지라도 파리와 같은 도시는 건물이 높지 않아 통풍이 비교적 잘되고 있으며, 녹지공간이 충분하여 열섬현상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비하여 로스앤젤레스는 녹지공간의 부족과 높은 건물로 인하여 열섬현상이 자주 일어난다.
□ 도시공간에서 나무가 하는 역할은 그늘을 만들어준다는 것만이 아니라, 그 잎을 통하여 수분을 배출하기 때문에 주변의 온도를 낮춰주는 역할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대도시 빌딩의 옥상에도 녹지공간을 만드는 것이 늘고 있으며, 이는 경관뿐만 아니라 열섬현상의 해결에도 도움이 된다.
□ 최근에는 심지어는 건물 지붕이나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표면을 햇빛의 흡수가 적은 도료로 코팅을 함으로써 대기의 온도를 낮추고자 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철저한 실험을 통한 데이터의 확보에 의해서 이것이 입증이 된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좋은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 저자
- Yukihro KIKEG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56(9)
- 잡지명
- Energy conservation(A07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3~38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