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필름 표면의 분자운동성과 나노 접착에의 응용(Surface Moleccular Motion in Polymer Films and Its Application to Nano-adhesion)
- 전문가 제언
-
□ 고분자 표면분자 열운동성의 특이성에 대하여, 표면탄성률의 해석, 표면과 벌크 간의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발생되는 기구, 열처리에 의한 고분자 계면 형성 및 깊이 등 고분자 표면에서의 현상을 자세히 소개하였으며 최근에 대두되는 고집적화 소재에 이 기술을 응용하기 위한 길을 제시하였다.
□ 유리전이온도인 경우 결정성, 반결정성 및 비결정성 등에 따라 온도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고분자를 다루는 일반 공정에서는 Tg나 Tm 등은 주로 DSC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앞에서 언급한 전이는 아주 낮은 온도에서부터 여러 가지 분자적인 운동으로 많이 나타난다. 여기서는 가장 뚜렷한 1st, 2nd 전이를 주로 거론하고 한 온도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넓은 범위의 스펙트럼이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표면분자 활동에 의한 낮은 Tgs의 영향에 의한 다른 효과를 살피는 것도 의미가 있다. 전자현미경을 촬영 위하여 고분자 시료는 에폭시 등에 넣어 굳힌 후 ultra-microtome을 사용하여 아주 얇은 박편으로 자른다. 이 경우 얇은 시료는 Tgs가 낮아지기 때문에 시료에 작은 전단력으로도 변형이 가능하므로 시료의 변형에 대한 문제를 잘 고려하여 해석을 해야 한다.
□ 논문에는 언급이 없으나 이러한 Tgs의 온도 저하가 고분자의 구조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와 실용화를 위하여 어떻게 얇은 필름을 만들 수 있는지 등에 관한 자료가 좀 더 필요하다고 본다. 앞으로도 좀 더 응용에 접근한 연구를 통하여 실용화의 길을 모색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 저자
- Kenji TANAKA ; Toshihiko NAGAMURA ; Senri KAJI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0(8)
- 잡지명
- 일본접착학회지(J13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45~350
- 분석자
- 임*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