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온시 겔화형열가역 하이드로겔의 합성과 응용(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Thermo-gelling Thermoreversible Hydrogel)
- 전문가 제언
-
□ 수용성고분자는 소량을 배합함으로서 용액의 점성을 조절하는 증점제(增粘劑)로서, 식품, 화장품, 의약품, 접착, 도료 등 광범위한 산업 제품에 이용되고 있다. 증점 작용에는 수용성고분자와 분산매(分散媒)와의 수소결합, 소수성 상호작용, 정전기 상호작용 등이 역할을 하는 것 외에 헬릭스(helix) 등의 고차구조 형성도 역할에 관여 한다.
□ 물리겔은 다당류나 젤라틴 등의 단백질에서 수용액을 고온으로부터 냉각하여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반면에 가열을 하게 되면 물리겔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감열응답성 고분자겔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그러나 감열응답성의(感熱應答性, Thermosensitive) 발현을 구동력으로 하는 물리겔은 감열응답성 고분자의 영역에 새로운 응용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수용성고분자를 가교(架橋)시킨 하이드로겔(Hydrogel)은 고분자 망(網)과 다량의 용매로 된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인 성질을 갖는 유연(柔軟) 소재이다. 고분자겔은 가교구조의 차이에 의하여 화학겔과 물리겔로 분류할 수 있다. 화학겔은 고분자 사슬이 국부적으로 공유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변화 등에 대하여 겔이 안정하다. 반면에 물리겔에서는 가교구조가 수소결합이나 소수성 작용 등의 물리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온도변화나 pH 변화, 적은 기계적 힘에 의하여 구조 파괴가 일어나, 고무와 같은 탄성으로부터 용액과 같은 점성까지 크게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 현재 온도 변화, 빛, 전기장, 자기장, pH 변화, 용매 교환 등 여러 가지의 자극(刺戟, stimili)에 대하여 응답하는 모노머 및 고분자 물질의 개발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일본에서는 독창적 고기능 재료 제조기술의 연구개발 부문의 한 부분으로서 「고도자극응답재료」의 일환으로 정부가 지원하고 있다. 특히 수용성 고분자와 관련된 감열응답성 고분자의 경우 일반적인 용도뿐만 아니라 의료 진단이나 약물 전달 도구로서 각종 생체분자(단백질, 효소, 핵산 등)를 인체 내에서 효과적인 전달체로서의 특수 기능도 기대되고 있다.
- 저자
- Hiroshi YOSHIOKA ; Shin-ya OHTSUBO ; Yuichi MOR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2(2)
- 잡지명
- 표면(C1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7~54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