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하게 발전하는 중국의 우주개발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 우주기술 세계 10위권 진입이라는 중장기목표를 세우고 항공우주개발연구원을 설립한 이래 1993년 1단형 고체추진로켓, 1998년 2단형 고체추진로켓 및 2002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액체추진 과학로켓인 KSR-Ⅲ를 독자적으로 개발한바 있다. 앞으로 건설 중인 전남 고흥 외나로도 우주센터에서는 소형위성발사체로 개발한 KSLV-1으로 과학기술위성 2호를 발사할 계획으로 있다.
□ 최근 우리나라는 2007년까지 한국 최초의 우주인을 배출하기 위해 러시아 Soyuz를 이용하여 국제 우주정거장에 탑승하여 10일 내외기간의 우주비행 및 과학실험을 수행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 이러한 상황에서 급속히 발전하는 중국의 40여년에 걸친 우주개발 활동 실적, 우주개발 체제와 연구조직, 향후 목표 및 우주개발 배경으로 사회적 변화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배우게 하는 시사점을 갖고 있다.
○ 2003년 10월 최초 유인우주선의 발사 및 귀환 성공과 계속해서 2005년 2명의 탑승인원에 의한 수일간의 우주비행 그리고 2006년 3명으로 구성된 우주비행 등 기술적 목표의 지속적 추진으로 단단식 우주수송시스템의 독자적 개발에 성공하였다.
○ 우주기술과 관련된 논문을 보면 군 관계대학에서 수행된 연구결과도 광범위하게 제공되고 있어 독자적인 기술개발에 자신감을 갖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위성임무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특히 달 탐사와 우주환경계측 등 새로운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또한 장정로켓의 발사성공률도 90%에 달한 것으로 신뢰성이 아주 높다.
○ 중국의 우주개발 분야 발전 이면에는 과학기술연구체제에 있어 인사제도의 개혁, 지속적인 경제성장노선의 유지, 무역관리제도의 정비 등 20세기 말에 비해 사회체제의 현저한 변화가 있었다.
- 저자
- Tzuzi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40
- 잡지명
- 과학기술동향(월보)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14
- 분석자
- 오*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