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에너지 소비(Green Consumption)
- 전문가 제언
-
□ 고유가 시대에 에너지 절약은 가정 부문에서 일상적인 습관이나 행동 양식의 변화를 통하여 소비 패턴을 바꿀 수 있으며, 전체적인 소비를 줄이지 않고도 많은 에너지를 절약하고 지구 온난화 가스인 CO2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형태의 소비는 직․간접으로 모두 에너지와 CO2 오염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기술로서는 어떠한 재생에너지를 사용 하더라도 탄소가 없는 에너지원을 생산하는 것은 제약을 받는다.
□ 핵연료를 제외하곤 현재로서는 탄소의 intensity가 zero인 연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에너지 사용과 CO2 오염은 단기적으로 소비패턴의 변화에 의해서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가정부문에서 친환경 소비(green consumption) 패턴을 채택할 경우 향후 5~20년 기간동안 에너지 절감과 CO2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스웨덴의 가구들의 소비 구조를 분석하고 LCA 기법을 활용하여 가계 부문에서 소비 패턴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 와 CO2 절감을 예측하였다.
□ 스웨덴의 경우 가계 부문에서 친환경으로 유도 할 수 있는 중요 부문은 여행, 주택, 식품으로서 이들은 전체 가구의 70%를 차지하며, 에너지 소비 및 CO2 배출의 90%를 점유하고 있다. 이 부문의 친환경 소비는 가정에서 많은 새로운 투자가 없이 단순히 습관이나 행동 양식의 변화(green diet, green travel, green housing)를 통해서 에너지 절감과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므로 우리 정부도 지속적인 대 국민 홍보와 계몽을 통해서 친환경 소비를 적극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향후 국민 소득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에너지 소비와 CO2 배출이 증가하게 됨으로 장기적으로 새로운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통해서 고유가 시대를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E.C. Alfredsso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29(4)
- 잡지명
-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13~524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