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소와 죽상경화증(Arsenic and Atherosclerosis)
- 전문가 제언
-
□ 동맥의 벽은 사람이 늙어감에 따라 견고해지고 탄력성을 잃게 된다. 이러한 죽상경화증은 동맥의 벽에 지방이라든가 타 퇴적물이 쌓여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동맥경화증이라 하며 이때 동맥의 라이닝이 거칠어지고 퇴적물들이 동맥을 좁게 만든다. 협착증은 혈관으로 적당량의 피를 흐르지 못하게 하는 동맥의 협착을 말하며 이들은 프라그의 퇴적이 원인이다. 프라그나 죽상경화증은 여러 해 동안 서서히 진행되어 결국에는 동맥을 막고 혈액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것이 심장혈관에 일어나면 관상동맥 질병이고 심장혈관 외에 일어나면 말초동맥 질병이다. 이 현상은 서서히 일어남으로 증상이 중년내지는 그 후에 나타난다. 위험인자들은 흡연, 당뇨병, 고혈압, 높은 콜레스테롤 그리고 과체중이다.
□ 한편 비소에 평균치 이상 노출되는 경우는 직장에서, 위험 폐기물 장소에서 그리고 자연적인 고농도 지역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일어난다. 높은 레벨에서 무기비소는 사망의 원인될 수 있고 여러 암들 즉 폐, 피부, 방광, 간, 신장 및 전립선암의 위험을 가져온다. 낮은 레벨에의 지속적인 노출은 피부를 탈색시키고 사마귀와 티눈들이 생긴다. 이들을 접촉하면 피부가 붉어지고 부어오른다. 반면 유기비소 화합물은 이보다 덜 독성이 있다. 그러나 고농도에 노출되면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비소 레벨을 측정하는 방법은 혈액, 뇨, 머리카락, 손톱 등으로 할 수 있으며 최근 노출된 것은 뇨 검사로, 6-12개월 지난 것은 머리카락이나 손톱이 사용된다.
□ 역학조사결과 상기 두 사항들이 서로연관성이 있음이 나타나고 있다. 즉 환경이나 작업상 비소에의 노출이 죽상경화증과 같은 혈관 질병에 관계된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또 인간 죽상경화증 모델 쥐의 실험에서 수용체에 의존하는 지질을 혈액에서 제거하는 것을 중재하는 Apolipoprotein E (ApoE)가 결핍되면 비소가 죽상경화증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은 두 사항들의 연관성을 더욱 뒷받침하고 있다.
- 저자
- Simeonova, PP; Luster, M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198(3)
- 잡지명
-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44~449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