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몬순지역의 홍수관리를 위한 원격감시의 응용(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in flood managem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monsoon Asia: A review)
- 전문가 제언
-
□ 지구환경의 빈번한 변화로 세계 각국이 기상이변으로 인한 자연재해발생이 금년에도 자주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일본처럼 평균치를 배 정도나 웃도는 태풍으로 인한 국가인프라의 피해와 인명피해 및 농작물과 산업시설피해가 상상을 초월하고 있으며 지구환경학자들은 앞으로 이러한 기상이변은 더욱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수립이 나라마다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우리나라도 절대 예외가 될 수 없는 위험지역에 속해 있다고 할 수 있다.
□ 아시아몬순지역에는 우리나라도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역시 하절기 및 우기에 집중적인 호우로 인한 홍수발생은 이 지역의 인명피해와 농작물피해 등에 매년 천문학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이런 자연재해에 대한 과학적인 방재대책의 수립을 위해서 인공위성을 비롯한 원격감시기술을 총망라한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함은 당연하다 하겠고 또한 지역 내 각국이 얻는 홍수관리정보를 서로 공유해야 함도 당연한 대안이라 할 것이다.
□ 먼저 홍수관리전략의 제1단계인 홍수취약지역을 선정하여 단계적으로 또한 집중적으로 개발활동을 위시한 모든 산업 활동에서 홍수위험에 대비한 충분한 인프라의 구축과 경보시스템의 확보 및 자연재해발생에 대한 훈련 등을 사전에 꾸준히 실시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밖에는 어떤 방법도 자연재해를 이길 수는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아시아몬순지역이 안고 있는 우기에 폭우로 인한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학적인 홍수피해지도의 작성과 관련한 인공위성을 비롯한 원격감시기술의 응용에 대한 이 지역에서의 실제상황을 검토한 것으로 우리나라도 이를 참고하여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또는 국내적으로 감시기술의 정확도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당위성을 이해하고 대책을 수립하는데 참고가 되었으면 좋을 것입니다.
- 저자
- Sanyal, J; Lu, XX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2)
- 잡지명
- Natural Hazar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83~301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