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양오염으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오염된 토양을 정화(복원)하는 목적으로 토양환경보전법이 제정(1995) 및 개정(1997, 99, 2001)되었고, 공정시험방법으로 수소이온농도, 수분, 시안, 6가 크롬, 구리, 카드뮴, 납, 비소, 유기인,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페놀류, 벤젠, 톨루엔, 에틸렌, 크실렌, 석유계 총탄화수소(THP)의검사, 특정토양오염유발시설의 설치, 정화(복원)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중금속 이온이 토양과 토양성분에 흡착됨으로서 중금속을 토양에 축적시키는 주요 과정이 되어, 흡착과정의 연구는 중금속이 액체의 이동상으로부터 고체상 표면으로의 이동과정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하고, 이 논문은 이러한 중금속의 흡착에 관하여, 반경험적 모델, 흡착 메커니즘, 흡착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와, 토양중의 Cd, Cr, Pb, Cu, Mn, Zn, 및 Co의 개개의 거동을 기술하였다.
□ Cd의 흡착은 2가 Ca와 Zn과 같은 경합하는 양이온의 존재에 크게 영향을 받고, Ca와 Zn는 토양 중에서 흡착위치를 선점하기 위해 Cd와 경합하거나 토양으로부터 Cd를 탈착할 수 있다. Cr의 흡착 및 침전 거동은 산화환원 퍼텐셜, 산화상태, pH, 토양광물질, 경합 이온, 착물제 및 기타와 같은 인자에 의해 조절되고, 산화철은 6가 Cr에 대해 가장 강력한 친화성을 나타내고, 3가 크롬의 흡착은 pH와 토양 중 유기물질의 함량이 증가하면 증가하고 반면에 용액 중에 경합 이온이나 용해된 유기 배위자가 존재하면 감소한다. 납의 흡착은 광범위한 농도 범위에서 Langmuir나 Freundlich등온선에 잘 일치하고, 토양중의 탄산염 농도는 Pb거동의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Co는 함수 철, 산화망간에 축적된다.
□ 이 논문에서 제시된 흡착에 관한 연구를 생물학적 처리방법(생물학적 분해법, 생물학적 통풍법, 토양경작법, 식물재배 정화법, 퇴비화법, 자연분해법), 물리, 화학적 처리방법(토양세제법, 토양증기추출법, 토양세척법, 용제추출법, 고형화/안저와법, 동전기법), 열적 처리방법(열탈착법, 소각법, 유리화법, 열분해법)을 포함하는 오염토양정화방법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기존의 복원처리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도록 응용하여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