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허혈 후 일산화질소의 역할(Role of nitric oxide after brain ischaemia)

전문가 제언
□ 허혈성 뇌졸중은 급작스런 뇌혈류 장해에 의한 의식 소실, 반신마비, 언어장애 등의 국소적 신경장애 증상을 일으키는 뇌혈관 질환으로 선진국에서 2-3번째의 사망요인으로 되고 있다.

□ 지난 20년간 뇌손상에 관련된 생화학적 기전의 이해와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을 위해 상당한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그 중에서 NO는 뇌혈관의 혈류 장애로 인한 허혈 상태(ischaemia)에 두 가지의 양면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 즉, 뇌허혈 손상 발생 후시간적 단계, 혹은 NO를 생성하는 세포 종류, NOS isoform과 같은 요인에 따라 방어적 효과 혹은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 뇌허혈 후 즉시 eNOS로부터 방출되는 NO는 주로 혈관확장을 촉진시킴으로서 보호적 효과를 보이는 반면, 허혈 발생 후 nNOS의 과대 활성화에 의해 생성되는 NO와 그 다음 iNOS의 새로운 발현에 의해 방출되는 NO는 뇌손상에 기여하게 된다.

□ 이 고찰 논문은 뇌허혈에 있어 NO의 양면적 역할을 지지해주는 실험적 임상적 데이터와 뇌허혈 후 NO의 조절 기작에 대해 요약하였다. 또한 아울러 뇌졸중 치료를 위한 NO에 기초한 치료전략과 NO donors와 NOS 저해제와 같은 NO 경로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약물뿐만 아니라 statins, aspirin, lubeluzole와 같이 부분적으로 NO 경로에 관련이 있는 약물에 대한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 특히 실험적 연구를 통해 약제들의 유용성이 평가되고 있으나, 뇌졸중 예방치료를 위해 약제사용의 추천을 위해서는 아직 보다 많은 대규모 임상실험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아울러, 본문에 기술된 뇌 허혈발생과 NO 역할에 대한 지금까지의 실험적/임상적 연구 결과들은 뇌졸중의 이해와 그 새로운 치료 전략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Moro, MA; Cardenas, A; Hurtado, O; Leza, JC; Lizasoain, I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36(3-4)
잡지명
CELL CALCIUM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65~275
분석자
남*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