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원인 분석모형(Incident causation model for improving feedback of safety knowledge)
- 전문가 제언
-
□ 보도에 의하면 2003년 1년 동안에 우리나라는 여러 분야에서 발생한 산업재해로 인하여 경제적으로 12조 4,000억 원의 손실을 보았으며 산업재해자 수도 94,924명으로 2002년도에 비하여 15.9%나 증가하였다고 한다. 그중 건설업종 재해자 수가 22,680명으로서 전체 재해자수의 23.9%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어 건설현장의 안전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느껴진다.
□ 건설 분야에서의 각종 재해는 개인과 가정의 비극은 물론 건설기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나아가서 국가경제발전에도 커다란 저해요인이 되므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위한 대책 수립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있다면 이를 면밀히 검토해서 사고 예방에 적극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 본 분석의 원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고원인 분석모형 MLCM (Modified Loss Causation Model)은 건설공사장에서 어떤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 그 사고발생의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 공사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안전관리시스템 SMS(Safety Management System)의 미비점을 수정하도록 하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는 차후 건설 사업에 적용할 SMS수립에 교훈으로 적용 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피드백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 원문에서 저자는 MLCM은 현제 적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사고원인 분석 모형들을 검토하고 140개의 실제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원인분석 과정을 통해서 개발한 모형으로서 건설 공사 시에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관리하는 SMS를 끊임없이 향상시켜 나갈 수 있는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MLCM에 대해서 건설 분야 안전관리전문가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일독을 권하는 바이다.
- 저자
- Chua, DKH; Goh, Y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130(4)
- 잡지명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AS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542~551
- 분석자
- 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