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철도 고속화의 역사와 전망(A review of its history, technical developments and)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도 2004년 4월 1일 KTX 운행을 시작함으로서 프랑스, 일본, 독일, 스페인 등과 함께 고속철도 국가가 되었다. KTX는 1992년부터 2010년까지 총 18조 4,358억 원이 투입되는 건국 이래 최대의 국책사업이다. KTX는 시속 300km로 서울 부산을 2시간 40분, 서울 광주 간을 2시간 58분 만에 주파함으로서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바꾸어 놓았다. 금년 추석 연휴 때만 하더라도 하루에 11만 명을 수송함으로서 전체 교통인구의 22%를 KTX가 분담하는 등 교통난 해소에 큰 몫을 담당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앞으로 KTX는 지역경제 활성화, 핵심기술 파급, 외국 관광객 유치 등 경제적 효과, 산업적 효과, 사회문화적 효과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한편 보도에 의하면 그동안 평균적으로 하루걸러 1건씩 크고 작은 사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사고의 내용은 차바퀴 마모를 비롯해서 차축 교체, 선로 고장, 보안장치 고장, 송전 고장 등 차량과 지원 장비의 결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객실 내 외부의 소음크기도 기준치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고속철도의 품질과 지원 시스템이 안정화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앞으로 한국은 남북한 철도 연결을 통해서 언젠가는 중국과 러시아를 거처 유럽까지 연결되는 철도를 운영하게 되리라고 본다. KTX는 한번에 수백 명의 인원을 태우고 시속 300km의 무서운 속력으로 주행하는 만큼 고속철도의 가장 기본적 요건인 안전대책 즉 제동, 화재, 통신, 신호체계 등 각종 통제시스템의 비상대책이 확실하게 수립되어야 하며, 철도차량의 각종 구성 품과 지원 장비,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높은 품질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KTX를 이용하는 우리 승객들은 승객용 의자를 비롯한 객실 내 외의 크고 작은 여러 편의시설물을 아끼고 소중히 다루어서 KTX의 수명이 오래도록 운행될 수 있도록 협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Smith, 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7(2)
잡지명
JSME INTERNATIONAL JOURNAL SERIES C-MECHANICAL SYSTEMS MACHINE ELEMENTS; AND MANUFACTU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44~450
분석자
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