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북부 네바강 하구역을 중심으로 하는 발트 연안의 생태계의 플랑크톤(Plankton of the Baltic estuarine ecosystems with emphasis on Neva)
- 전문가 제언
-
□ 유럽 북부에 위치하고 전 세계적으로 부유한 나라인 스웨덴, 핀란드, 독일 및 러시아로 둘러싸인 발트 연안은 육지로부터 여러 가지 환경오염 물질이 유입되고 있고, 해안과 접해있는 육지의 산업화로 인해 연안 해역 및 개펄의 생태 환경이 20세기에 들어와서 많이 황폐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발트 연안역을 환경공학적인 모델링으로 설정한 연구도 최근에는 많이 나오고 있다. 앞으로는 이 연안역의 생태계가 회복 및 보존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 연안 해역의 생태계에 대한 지표로는 여러 가지의 물리 · 화학적인 요인과 생물학적인 요소들이 있다. 연안역에서는 담수와 해수가 섞임으로 인해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항상 무수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식물성 및 동물성 플랑크톤의 종류와 개체수 및 분포를 관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생태계의 상황을 파악하는 접근법이다.
□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발트 해와는 다소 다른 생태 시스템을 갖고 있다. 그 서해안에 산재하고 있는 개펄의 생태에 대해서도 그대로 보존하자는 환경학자나 환경NGO의 주장이 있는가 하면 새만금 지역과 같이 개발 논리에 밀려 환경 평가도 정확히 해보지 않고 바다를 매립하는 공사가 진행되어 암초를 만나는 일도 있다. 또한 세계 3대 개펄로서의 생태적 가치, 경제성 및 연구 가치를 인정하는 강화도의 개펄도 잘 보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 이 글은 현재까지 유럽 북부 발트연안의 생태계를 환경적인 측면에서 그 변화 과정을 정리한 것으로, 왜 이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플랑크톤이 중요한지와 이들의 생태계에서의 역할이 수질의 정화 등에 얼마나 귀중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앞으로의 문제점 및 전망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우리나라 개펄의 중요성과 이의 보존적인 측면에서 연구자들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에게까지도 이 문헌이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Telesh, IV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9(3)
- 잡지명
- Marine Pollution Bulleti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06~219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