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우나 어류가공유출수에서의 폐기물 부하(Waste loading in shrimp and fish processing effluents: potential source)
- 전문가 제언
-
□ 해양환경의 오염은 대기 침강을 제외하고는 거의가 육지로부터의 유입하는 폐기물이나 토사 등에 의한 것으로 특히 홍수시의 무분별한 육지로부터의 대형 고체폐기물의 유입량을 제외한다면 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수산물의 공식-비공식적인 또는 소규모-대규모가공에서 나오는 수산폐기물이 가장 높은 비중을 점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해양생태환경의 지속가능한 유지발전을 위해서 수산가공폐기물의 적절한 폐기관리가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 배출장소와 유입장소가 너무 가까이 위치하고 있음으로 인해 수산가공폐기물의 체계적인 감시 및 관리가 대단히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가 있으나 긴 안목으로 볼 때 수산폐기물은 근해의 어족자원의 고갈원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처에 산재하는 쾌적해야 할 위락시설환경도 망치는 결과를 주기 때문에 수산가공폐기물을 대량 배출하는 기업규모의 사업장부터 육지의 타 산업 사업장처럼 배출량을 최대로 줄이는 노력과 폐기물을 재이용하는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 앞으로는 지금까지 일반인에게 비교적 무한한 것으로 알려진 수산자원도 지구인구증가와 수산기술의 발전으로 언젠가부터 유한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과정에서 해양자원의 환경오염현상도 점차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인식하여 지속가능한 수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 수산폐기물의 관리 및 감시체계는 국제적인 조직으로 활동이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수산 가공 산업이 해양환경의 오염에 얼마나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가를 개론적으로 다룬 것으로 이를 참고하여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만의 수산가공폐기물배출실태조사나 수산폐기물의 관리 및 감시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귀중한 참고자료로 활용하면 좋을 것입니다.
- 저자
- Islam, MS; Khan, S; Tanaka, 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9(1-2)
- 잡지명
- Marine Pollution Bulleti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3~110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