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HIV 감염과 소아 사망률(Child mortality and HIV infection in Africa: a review
- 전문가 제언
-
□ 본문은 주로 흑인의 국가로 된 사하라 사막 남부의 아프리카 대륙의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에 의한 어린이 사망률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출산 전후에 산모로부터 감염된 소아의 5세 전 사망률은 매우 높고, 이로 미루어 볼 때 이 지역의 성인의 감염률도 아울러 짐작할 수 있다.
□ 산모로부터 신생아에게 출산 전후나 그 도중 감염을 막는데 제왕절개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이제는 항-바이러스 요법으로 출산 전후의 유아 감염은 현격히 감소하였으나 문제는 모유를 먹는 동안 생모로부터 유아에게 감염된다는 것이다. 국민소득 200불 내외의 빈국에서 제왕절개나 분유를 먹인다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가능한 선택이다.
□ 초기 단계에 항-바이러스 요법의 광범위한 도입으로 이제는 유럽이나 미국 같은 선진국에서는 AIDS에 의한 질병의 급속한 악화나 사망은 그리 흔하지 않다. 또 이 질병에 감염된 성인들에게도 특효약이 출현하였으므로 사망은 피할 수 있게 되었다.
○ 그러나 빈국인 사하라 이남지역에서는 사정이 다르다. 그들의 경제적 수준으로는 이 특효약이 감당할 수 없이 비싼 것이다. 그러나 세계 지적재산권 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인도가 이 약을 복제하여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 싼 값으로 판매하고 있다. 연구비가 들지 않았음으로 인도의 제약회사에게 이것이 가능하다.
○ 당연히 이 약의 특허를 가진 미국이나 유럽의 제약회사들이 아프리카 각국에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 이 약의 판매를 중지시켜 줄 것을 요구하는 소송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 각국의 대법원에서 선진국의 제약회사들이 연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나라의 법률적 후진성 때문이 아니다. 법원의 판결이유는 “생명은 지적재산권에 우선한다.”란 명제 때문이다.
- 본문에서 본 것처럼 이 질병에 감염된 환자로 인하여 국가의 존망이 위태한 나라에서 부유한 선진국 국민과 같이 대가를 지불하라는 것은 이들에게 죽음을 선택하라는 것과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 저자
- Newell, ML; Brahmbhatt, H; Ghys, PD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18
- 잡지명
- AI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7~34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