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효소고정화를 위한 기초물질로서 키틴과 키토산의 응용(Application of chitin- and chitosan-based materials for enzyme)

전문가 제언
□ 기능성 물질로서, 키틴(chitin) 과 키토산(chitosan)은 특성상의 유일한 쌍을 제공 한다: 생물적합성, 무해물질로서의 분해성, 비독성, 생리적 비활성, 항균 특성, 중금속이온의 킬레이트화, 겔 형성 특성과 친수성 그리고 단백질에 대한 친화력이다. 이들 특성 때문에, chitin과 chitosan은 가까운 장래에 환경 친화성 물질로 널리 이용될 것이 예측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는 효소 고정화 지지체로서도 활용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 지난 10년간에 화학공정의 전통적인 방법은 복잡정교한 생산물의 넓은 범주의 제품분리와 분석기술이 확정되어 생산 수준으로 발전하는 동안, 그 효과와 안전성뿐만이 아니고 환경적으로 온화하고 자원과 에너지 절약이 잘 되는 대안방법들이 얻어지고 있다. 이들의 목표성취를 위한 최대의 기대전략들 중의 하나는 효소 이용분야로 전망된다.

□ 촉매제로서 효소의 유익한 특성에 대하여서는 1960년대 이후에 연구되었다. 그리고 여러 가지 효소 촉매공정은 성공적으로 식료재료의 생산, 의약품, 그리고 농약생산과 유기화학의 합성에 사용되고 있다. 식품, 약품, 의료와 농업에의 응용성, 비독성 및 금속의 생물친화성이 그 특성이다. 그러나 제조공정의 개선, 원료 키틴의 수급방법 등에 대한 지구환경개선의 차원에서 차원 높은 연구를 위한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 현재의 자원적인 측면에서 키토산의 원재료인 갑각류의 껍질, 곤충과 균류의 세포벽은 최소 1년에 10 Gt 의 거대한 양이 합성되고 분해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도 한 두 개 공장에서 건강기능성 식품의 생산을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제품가격의 불합리, 원료 키토산의 생산규모 및 기술의 불일치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결여 등으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격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이용분야의 고부가가치인 고정화 효소기술의 활용에 따른 효소촉매제의 개발이 매우 효과적인 방향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Krajewska, B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35(2-3)
잡지명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6~139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