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양과 암 예방(Nutrition and cancer prevention: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on)

전문가 제언
□ 기존 화학요법제의 대표적인 문제점은 부작용, 내성 또는 재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상적 항암제 개발을 위해 최근에는 면역요법, 유전자 치료, 내성 억제, 신생혈관 억제제 등의 생물학적 요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천연물 유래 항암작용 후보물질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 대부분의 암이 15-40년의 긴 잠복기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암에 따라서는 정상조직으로부터 암종으로 이행되는 여러 단계의 변화 과정에서 암으로 진행되기 전에 전암 병소 단계에서 앞으로의 이행을 막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암의 화학적 예방(cancer chemoprevention: CCP)은 최근 중요한 암 예방연구의 모델로서 활용되고 있다.

○ 1960-70년대에 미네소타대학 Wattenberg와 그 연구진이 많은 물질들, 특히 indoles나 isothiocyanates와 같은 과실이나 채소등과 관련이 있는 다양한 물질들이 실험동물에서 화학적으로 유발시킨 암에 대한 억제작용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입증한 바 있다. 그 후에 일련의 a myriad of retinoids에 대한 실험에서 M.B. Sporn은 처음으로 CCP라는 문구를 만들어내어 이 현상을 더욱 명확히 하였다. 일반적 정의로는 CCP는 암 발생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섭취함으로서 암을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나 흡연을 중지하는 것처럼 초기 암 억제와 암의 진단 후 치료하는 암 화학 요법과는 다른 개념이라는 것이 중요하다.

○ Watterberg의 개척적 연구 이후 수많은 세계적인 유명한 과학자들이 CCP의 개념을 인체암을 감소시키는데 생존 조정 전략으로서의 신빙성을 주는데 근본적인 기여를 한 바 있다. 예로 어떤 전염병에 관한 연구에서 식이요인들이 암의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요는 과실이나 채소를 5회 또는 그 이상 섭취한다는 생각은(NCI, ACS 등등) CCP의 형태를 만드는데 기여하였다. CP로 생각되는 다양한 구조의 물질 군들이 있으며 600종이상이 이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 물질의 예를 들면 발생 전 억제물질로서 phenols, flavones, aromatic isothiocyanates, diallyldisulfide, ellagic acid, antioxidants, glutathione, S2O3 및 시작된 후의 억제물질로서 β-carotene, retinodis, tamoxifen, dehydroepiandrosterone, terpenes, protease inhibitors, prostaglandin inhibitors, Ca2+ 및 nerolidol 등을 들 수 있다. 약물들은 계획된 식품첨가물, micronutrients, 비영양식품, 산업용 시약, 약물, 호르몬, 반호르몬 등의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이 약물들은 때때로 암 발생의 특정 단계의 억제물질로 나눌 수 있다.

□ 화학적 암 예방물질들은 발암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단계나 작용기전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발암원 물질의 차단 활성이 있는 물질 : procarcinogens 의 흡수 억제, carcinogens의 형성 억제, 발암원 물질의 대사 활성화 억제, 발암물질의 불활성화 또는 해독활성, 발암물질과 DNA와의 공유결합 차단, 손상 DNA의 수복능력 증가.
2)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 : 발암물질이나 친전자성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친 핵성 물질, 산소 유리기를 소거하는 물질(항산화효소군, 비효소군, 손상된 DNA를 수복하는 효소군, arachidonic acid 대사억제물질 등).
3) 세포의 항 증식(antiproliferation)활성이나 항 진행(antiprogression)작용을 갖는 물질: 세포 신호전달체계 변형, hormone 이나 growth factor등의 활성 변형, 발암 유전자 활성 억제, polyamine 대사과정 억제, 말기분화 유발, 면역반응 증진, 세포간 교신 증가, 발암 억제유전자의 기능 회복, 계획된 apoptosis 유발, methyl화된 DNA의 불균형 교정, 혈관형성 억제, 세포 기저막의 파괴를 억제, 암 전이 억제유전자의 활성화 등이다. 화학적 암 예방제의 조건은 인체에 전혀 독성이 없거나 극히 미약하고, 불특정 다수인에게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천연물 성분이나 합성이 용이한 물질, 경구투여가 가능한 물질 또는 발생 질환의 치료가 목적이 아니므로 경제적이어야 한다.

□ 한편, 화학적 암 예방제의 적용 대상은 암 발생 고 위험군인 흡연자, 석면이나 고무를 다루는 공장에서 일하는 군, 가족성 결장 폴립증처럼 암 발생이 유전적으로 예견되는 군, 흡연자 중 이미 전암병소인 백반증(leukplakia)을 나타내는 군, 재발률이 높거나 이차성원발암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군 및 항암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군 등을 들 수 있다.
저자
Forman, MR; Hursting, SD; Umar, A; Barrett, JC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24
잡지명
ANNUAL REVIEW OF NUTRI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23~254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