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roteomic profiling을 위한 Bioinformatics 전략(Bioinformatics strategies for proteomic profiling)

전문가 제언
□ DNA 칩의 개발로 인간게놈프로젝트 완성이 단축되면서 이제 Postgenome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유전자의 수를 약 30000개로 추정할 때 여기서 합성되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이들의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에 의해 생성되는 생체 내 수많은 단백질을 분석하기 위한단백질 칩이 개발되어 단백질의 발현 및 기능연구에 대한 기간이 크게 단축되리라 기대된다. 더욱이 센서 칩에 이어 Detection System에 있어서도 SELDI-TOF과 같은 고속처리장치가 개발됨으로써 앞으로 Proteome의 연구가 급속히 발전될 것으로 보인다.

□ 단일 protein의 기능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의 단백질 상호작용에 의한 새로운 기능들을 추적하는 Proteomics 연구를 위해서는 대상 기능과 실험집단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통계방법의 응용은 필수이며 이 경우 실험의 전 과정을 통하여 다변량 편견이 나타날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Hardware에서 오는 오차를 줄이는 연구뿐만 아니라 알맞은 통계방법의 선택 및 Computerize된 Algorithm의 개선도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21세기는 나노 시대라고 한다. 미국을 비롯하여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Nanotechnology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중에는 단백질 상호작용의 해석을 위한 Nanobiochip과 이와 관련된 나노 수준의 Detection System 개발도 포함되어 있다. 국내에서도 정부의 지원 하에 학계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 훨씬 못 미치는 연구비로 의욕만 가지고 방대한 나노 연구 분야에 도전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간만 소비하게 되기 쉽다. 오히려 우리의 현실과 예산에 적합한 연구 분야를 엄격히 선발하여 집중적으로 지원, 연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된다.
저자
White, CN; Chan, DW; Zhang, Z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37(7)
잡지명
CLINICAL BIO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36~641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