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생태계의 수은오염의 원인과 치료(Sources and remediation for mercury contamination in aquatic systems -)

전문가 제언
□ 중금속물질인 수은오염으로 인해 인체에 끼칠 유해성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오래전부터 문제시된 것으로 수은은 난분해성 중금속물질로 발생학적인 원인에서 알 수 있듯이 광산이나 공업지역에서의 채광활동이나 연소를 제외한 다른 요인들 즉 대기 침강, 토양침식, 산림연소, 농업활동에서도 자연 배출하는 현상과 이렇게 배출된 수은이 먹이사슬을 통한 생체축적으로 인해 결국은 인간의 먹이로까지 전달될 수 있음을 볼 때 수은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항상 가지고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게을리 할 경우에 일본에서 있었던 미나마타 수은중독사건이 발생할지도 모를 일이다.

□ 아울러 우리나라에서도 발생기원학적으로 의심되는 몇 개 지역의 표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지역에 대한 계속적인 관리감시활동과 원격모니터링을 하여 장기간의 변환과정을 연구함과 동시에 우려지역에 대한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시하도록 촉구해야 할 것이다.

□ 광산이나 공업지역에서 발생하는 수은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환경 맵핑을 하여(서해안에 집중된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화력발전소 포함) 철저한 국가관리체제에 들도록(이유는 난분해성으로 인해 상당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에 걸쳐 관리를 해야 하기 때문 임) 하여야 할 것이고 특히 배출확산이 확대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과거에 수은오염중독사건을 만들었고 앞으로도 가능성이 있는 몇 개 우려지역을 지적함과 함께(가까운 중국과 함께 남, 북한이 여기에 포함 됨) 수은의 대기 침강에 의한 수생태계에서의 침강물을 어떤 방법으로 관리하고 저감시킬 수 있는가를 제시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연구자들에게도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자
Wang, QR; Kim, D; Dionysiou, DD; Sorial, GA; Timberlake, D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131(2)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23~336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