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 연료의 가스화에 의한 열병합 발전(Biofuel gasification combined heat and power)

전문가 제언
□ 최근 폭등하고 있는 석유 가격은 지구 전역에 걸쳐 소비 증가가 가속됨에 따라 생산량이 소비를 감당할 수 없는 지구상의 석유 자원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향후 대체 에너지 개발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스웨덴은 총에너지의 16%를 바이오메스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지역난방 또는 열병합 발전 등의 보다 향상된 기술에 의한 바이오매스 이용 비율은 불과 2%에 지나지 않으나, 스웨덴 정부는 2010년까지 바이오 연료를 획기적으로 늘리기 위한 계획을 추진 중이며, 향후 정부 정책으로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전력 생산을 증대할 계획이다.

□ 본 연구를 통하여 wood chip 등을 이용한 증기터빈 발전과 에너지를 산업체와 지역난방에 이용하는 경우와 또한 새로운 기술인 biofuel을 원료로 사용하는 가스화 복합발전(BIGCC) 기술에 관하여서도 경제성 및 투자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 Biofuel을 이용하여 증기와 전력을 생산하고 전력과 증기는 산업체에 공급하고 증기 또는 온수는 지역난방에 이용함으로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한 단계 높이는 바이오 에너지 이용기술은 저렴한 대체에너지 자원에 의해 활용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계획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바이오 가스화 복합발전 기술을 활용함으로서 보다 높은 전력효율과 생산성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지역난방이 고가인 천연가스 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대체에너지 분야의 바이오매스를 포함한 태양,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 이용 율이 불과 0.2%라고 보고 된바 있어 향후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바이오 에너지 이용 기술개발 정책이 요망된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바와 같이 열병합발전 및 가스화복합 발전 등의 보다 향상된 바이오 에너지 활용 기술 개발을 통하여 바이오에너지 사용을 증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에너지 분야의 정책 입안자들은 우리와 여건이 다소 다르기는 하더라도 스웨덴 또는 북유럽 국가들의 재생에너지 추진 계획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자
A. Marbe, S. Harvey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29(8)
잡지명
ENRE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117~1137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