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 디바이스 기술 조사

전문가 제언
□ 주요국이 21세기 대표적 기술혁신대상으로 예상하고, 국가R&D프로젝트로 추진 중인 나노기술은 많은 경우 경쟁적 연구개발단계에 있지만, 개발초기의 장밋빛 응용전망에 비하면 연구 성과가 다소 부진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것은 Bottom-up방향의 재료과학적 접근에 의한 성과가 응용의 실체인 나노 디바이스와 시스템(NEMS)으로 실현되는 데에는 별도의 기술적 장애와 경제적 고려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 이 보고서는 일본정부(NEDO)가 앞으로 나노기술 연구결과의 산물로 나타날 나노 디바이스가 일본이 기술과 산업에서 세계정상 수준에 있는 로봇(휴머노이드), 자동차(미래형 하이브리드 자동차 포함), 전자게임기 산업을 대상으로 수요발생 가능성을 1차 조사한 내용이다.

□ 일본제품의 특징과 강점은 소형․정밀화와 이를 가능케 하는 제조기술에 있다. 이 보고서에서도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나노기술연구자체도 중요하지만 결국 나노 디바이스로 구현하는 제조기술의 강화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즉, 마이크로/나노기술은 일본산업의 특성에 적합하고 기술소화는 가능하기 때문에 나노 디바이스 개발과 응용전략은 개발된 나노 재료 등 나노기술을 제품화하기 위한 제조기술의 선점전략이 중요한 과제임을 제시한다.

□ 미국과 유럽에서는 나노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Top-down형의 접근방향인 MEMS 또는 MST디바이스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Foundry서비스산업이 형성되어 있다. 고가의 장비가 필요한 제조서비스전문기업 육성을 통해, 특히 중소․벤처기업의 MEMS디바이스산업 진출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나노 디바이스 역시 동일한 관점의 Foundry서비스가 필요하다. 이 보고서에서는 미국과 유럽에 비해 낙후된 일본의 MEMS Foundry서비스업 육성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 MEMS기술개발과 실용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나노기술을 국책연구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내현실을 고려할 때 Foundry서비스체제도입에 대한 정책적 판단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저자
NED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2003)
잡지명
2003년도조사위탁사업성과보고서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99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