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산업에 있어서 리스크 매니지먼트의 현황과 전망
- 전문가 제언
-
□ 기업을 둘러싼 위험은 사고, 자연재해, 제품안전, 환경, 재무, 노무, 사회, 정치, 외교 등 여러 가지가 생각된다. 이들이 현재화되었을 때의 피해는 기업경영에 다대한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그의 존속까지도 위협하게 된다. 현실로 그와 같은 케이스가 일본에서도 발생되고 있고 그 배경으로 위험관리의 불비가 지적되는 경우가 많다.
□ 이 보고서에서는 주로 화학산업분야의 사고위험을 대상으로 하여 위험관리의 중핵을 이루는 위험평가의 현상에 대하여 기술하고 위험평가에 대하여 사견을 기술하였다.
□ 현재 엔지니어링기업의 플랜트건설프로젝트에서는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환경영향평가)와 더불어 QRA(Quantitative Risk Assessment : 정량적 위험평가)를 실시하는 경우가 구미에서 증대되고, 설계현장에서는 개인위험이나 사회위험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위험저감대책이라는 논의가 이루어져, 플랜트의 위험대응에 대하여 우리나라나 일본의 현상과의 격차를 실감하고 있다.
□ 종래 원자력 등 한정된 분야에서만 추급하였던 확률론적 위험평가가 구미는 물론, 일본에서도 화학산업분야에서 실제로 시행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원자력분야에 확률론적 위험평가(Probabilistic Risk Assessment)가 적용되고 있으나, 아직 까지 타 산업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도 구미나 일본에서처럼 일반산업 특히 화학산업에도, 정량적인 위험평가가 정착되어 플랜트의 안전을 보다 합리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착되기를 바란다.
- 저자
- Shunsuke Matsuoka ; Kuniharu Ue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46(9)
- 잡지명
- 배관기술(A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41~47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