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 정보 분야에 관한 최신대책
- 전문가 제언
-
□ 미래사회의 큰 변화 중 하나는 교통으로서 빠르고 쾌적한 이동수단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바, 도로교통에서 도로의 확장은 한계가 있으므로, 차량의 성능개선과 교통시스템의 개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 교통시스템은 차량의 종류, 속도, 밀도를 검지하여 교통 흐름을 실시간으로 최적 제어하는 관제시스템과 최적 주행경로를 알려주는 차량항법시스템 그리고 주행 중의 운전자에게 정보 제공하는 운전지원 시스템 등이 있고, 목적에 따라 도시 교통관리, 고속도로 교통관리, 자동 통행료 징수, 자동교통단속 등이 있다.
□ 최근 전자제어 기술의 발달에 의해 실시간으로 교통데이터를 수집하여 교통흐름을 제어하고 적합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ITS 관련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며, 인공지능화로 사전 예측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 우리나라도 대도시를 위주로 선진적인 교통시스템을 개발하여 상당부분 적용하고 있고, 최근엔 차량항법장치를 설치한 차량과 함께 더욱이 PDA에 의해 위성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는데, 전면적인 도입은 차량항법시스템 경우 2005년, 첨단교통관제 시스템은 2009년 이전이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 본문에서 일본은 예측정보를 입력정보로 하는 차세대 제어방식을 개발하고, 차량탑재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제공을 시도하고 있어서, 가까운 미래의 교통관련 시스템의 기술 진행 방향을 보이고 있다.
□ 우리나라도 현재 IT기술의 발전으로 다채널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이나 GIS 이용 차량항법기술 등을 갖추고 있어서, 이러한 요소기술을 종합한다면 선진국에 못하지 않은 기술수준이 가능하다고 보며, 보다 실용화를 앞당김으로써 도로교통과 환경에 크게 기여하고 나아가 수출 산업화도 가능하다고 본다.
- 저자
- SAKAMOTO kenta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449)
- 잡지명
- 기술과 경제(L30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4~43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