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해상보안청의 선박자동식별시스템 추진계획(Introduction of Navigation Safety Measures of Japan Coast Guard Using AIS)
- 전문가 제언
-
□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선박자동식별시스템)에 대해서는 이미 2회에 걸쳐 그 기술적인 내용과 문제점 및 효과, 그리고 AIS장치의 활용에 대비한 교육훈련방법 등에 관하여 상세히 소개한 바 있으며, 이 문헌은 이 AIS장치의 보급확산을 위한 일본 해상보안청의 추진계획을 추가하여 소개한 것이다.
□ 전 회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AIS장치는 1990년대 초부터 국제항로표식협회를 중심으로 개발이 시작되었고, 1995년에 스웨덴과 핀란드로부터 IMO(국제해사기관)에 제안되어 현재에 이르렀으며, 2002년 7월에 발효한 SOLAS조약(해상에서의 인명안전에 관한 조약)에 의거하여 일본도 일정요건의 선박은 AIS장착이 의무화되어, 특히 탑재의무가 있는 외항선은 2004년 말까지 AIS탑재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 이를 위하여, 일본은 해상보안청이 주관이 되어 일본열도의 전체연안의 선박폭주 해역에 설치되어 있는 주요 해상교통센터에 이 AIS활용을 위한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현재 막 시행중에 있는 최근의 동향이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외항선은 물론이거니와 국내의 연안운항 선박들의 충돌예방과 해상교통안전을 위하여 이 문헌의 내용이 유익한 참고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저자
- Isamu MATSU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160)
- 잡지명
- 일본항해학회지(N28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84~91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