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밀 가공에서 다이아몬드공구와 사용법
- 전문가 제언
-
□ 고정밀도부품 자유곡면의 경면가공은 일반적으로 연삭가공으로는 어려우며, 경면에 광택을 내기에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초정밀 경면가공에는 소결합금(cBN, TiN, TiC등)절삭공구에 의하거나 혹은 다이아몬드공구에 의한 절삭가공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다이아몬든 절삭공구를 사용한 초정밀 가공으로 제작되고 있는 광소자나 전자부품들은 다이아몬드의 정밀연마로 원호형상의 날 윤곽 정밀도에서 0.05μm, 직선 날의 진직도는 0.01μm/2mm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다이아몬드 절삭공구의 수요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일본의 2003년도 다이아몬드공구의 생산액이 80억 엔에 이르렀다는 보고도 있다.
□ 종래 가공에 쓰인 다이아몬드는 주로 고경도의 담금질된 강의 연삭용 숫돌에 사용되거나 혹은 입자가공의 일종인 랩핑(lapping)가공용 파우더(compound)로 활용되는 것이 대부분 이였다. 그러나 작금 광학기기용 광소자 등의 초정밀가공이나 경면가공을 다이아몬드공구에 의한 절삭에 의존하게 되었고, 그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다이아몬드공구의 최적사용법에 대한 기술은 확립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다이아몬드공구이외에 소결체(cBN, TiC, TiN등)모재에 PVD, DLC, CVD 등의 코팅법을 적용하여 소결체 공구의 수명을 장수명화 하는 등 표면경화법의 개발로 고경도강의 초정밀 절삭가공에 도전하고 있으나, 아직은 나노미터 오더의 가공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 이러한 상황 하에 다이아몬드공구의 최적 사용법과 관리에 관한 연구결과인 본 자료는 다이아몬드공구의 적용분야로부터 가공조건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다이아몬드공구에 의한 경면가공시의 인선선단의 형상이 둥근 모양과 뾰족한 모양인 경우에 경면가공결과의 정밀도를 계산식에 의한 계산치와 실가공후의 실측치와의 비교들 통하여 평가하였고, 다이아몬드 절삭가공 시 연한 재료일수록 다이아몬드공구의 절손속도가 빨라 다이아몬드공구의 수명이 짧게 되는 이유 등에 대하여 상세히 보고하고 있어 다이아몬드공구의 초정밀가공에의 응용에 있어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HIGUCHI, Masahi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8(7)
- 잡지명
- 기계와 공구(A06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4~19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