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 엔진의 다단 분사량 및 분사율 계측(Multiple-Injection Measurement System)
- 전문가 제언
-
□ 커먼레일에 의한 다단분사의 연구는 1994년 Reiz에 의해서 보고되었다. 즉 분할분사에 따라서 연소율제어를 한다. PM과 NOx를 동시 저감시키는 것이다. 다단분사에는 다수회(多數回)의 전자밸브의 작동을 필요로 하여 구동에너지와 소비에너지라고 하는 과제가 있다.
□ 자동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하여 연료, 자동차기술에 의한 대기환경의 개선효과의 평가와 대기환경 시뮬레이션 등의 연구, 더 한층 자동차를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효과와 지구환경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에서의 배출물질을 폭넓게 평가하기 위하여 배출 가스는 물론 가스 상 및 입자상의 미량성분에 있어서 측정과 분석방법의 개발을 실시되고 있다.
□ Main-분사 전후의 Pre, After-분사에는 분사 간격이 가까우면, 후의 분사량에 영향을 준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대책으로서 분사압력 및 인터벌에서 후의 분사량 지령 값을 보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보다 더 Pilot-분사와 Post-분사는 피스톤이 하강한 위치에서 분사되기 때문에 실린더 내벽에의 연료부착이 발생하는 과제가 있다. 대책으로 소량을 다단으로 분사하는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 직접 분사식 디젤엔진은 본래의 낮은 열 부하 때문에 가솔린엔진에 비해 터보차저를 통한 출력 증대 가능성이 높다. 작은 배기량으로 우수한 동력성능의 달성이 가능하여 연료 소비 및 배출가스가 줄어든다. 물론 동일한 배기량에서 고출력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첨단 재질의 적용이나 강성을 높이기 위한 각종 요소 기술의 발전이 수반되어야 한다.
- 저자
- Yukimitsu Omor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58(7)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52~57
- 분석자
- 이*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