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 디젤엔진의 성능과 배기 특성(Engine Performance and Emission of Diesel Vehicle Operate : Real-Time On-Board Measurement System)

전문가 제언
□ 디젤엔진은 연비성능이 우수하고 CO2 배출량이 적다. 유럽에서는 승용차용 엔진으로 디젤엔진의 점유율이 급속히 신장되고 있다. 그러나 디젤엔진은 분무연소에서 기인되는 PM과 NOx의 다량 배출로 대기오염도가 높다. PM는 대기 및 인체에 미치는 위험성의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NOx는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물질로 알려져 PM 및 NOx의 감소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 엔진의 연소개선을 위한 연료분사 장치의 개발 및 배출가스의 후처리 장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함께 연료 개질에 의한 개선 방법도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일반적으로 바이오 디젤연료는 경유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이오 디젤연료는 경유 혼합비가 증가하면 CO, HC 및 PM은 절감되고, 황(S) 함량이 적어 디젤엔진 후처리 장치의 성능 저하를 가져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바이오 디젤연료는 연료에 따른 특성이 다르므로 연료의 규격을 통합할 필요가 있고, 평가법이 아직 결정되지 않아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여기에 도로 주행시에 디젤자동차의 주행 모드와 배출가스의 배출 상황을 실시간(real time)으로 파악하기 위한 배출가스 측정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고 측정 시스템으로부터 얻은 각종 특성치의 산출방식과 디젤연료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것은 바이오 디젤엔진 실용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디젤연료의 도입을 실현하는 데는 무엇보다도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경쟁력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경제성, 안정성, 공급의 안정성, 환경성 및 편리성이 중요한 요소라 생각된다. 또한 바이오 디젤연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 혼합 사용에 따른 배출가스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저자
Jiro Senda ; Nobunori Okui ; Tokihiro Tsukamoto ; Hajime Fuji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58(7)
잡지명
자동차기술(A081)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35~40
분석자
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