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Tanken Seal은 정지형 미케니컬 실을 1970년대에 실용화 한 후. 개량을 거듭하여 지금은 석유화학공정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슬리브 턱 부위 회전측 실 링에 의해 실 단면과 축과의 직각도 유지로 확실한 밀봉을 보장하며, 실 그랜드측의 스프링은 실런트에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플로팅 패킹(floating packing)은 O-링을 표준으로 사용하여 양호한 프로팅(floating)상태 유지 등으로, 회전형 미케니컬 실 누설원인의 약 70%를 차지하는 고착, 긁힘(scratch) 등의 문제해결로, 가혹조건 대응 및 장수명화를 실현했으며, 호환성 증대로 경제성도 우수한 미케니컬 실이다. 한편 Nittetsu Fine Products의 미케니컬 실은, O-링 밸런스의 정지형을 기본으로 접동부를 모두 실 타입으로 공유시켜, 설계를 통일해 호환성을 증대시켰으며, ISO, ANSI, DIN, JIS, API 규격을 기본으로 설계하여 기기 개조 없이 장착 가능한 경제적인 제품이다
□ 한국의 극동실테크는 국내에서 통용되는 전 규격의 미케니컬 실을 ISO3069, DIN24960, KSB1566 기준에 입각해, 고무벨로우즈 미케니컬 실 등을 설계에서 제작까지 2,200여종을 생산하고 있다. 최근,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소수 기술선진국의 전유물이었던 고품질, 고밀도의 탄소재 응용제품을 소재 생산에서 기능성 완성품까지 대량생산기술을 보유하고, 내마모성 미케니컬 실링 재, 가스미터기 탄소밸브 및 시트, 고밀도 탄소부싱 등 박판, 고굴절 탄소재 제품을 최첨단 공법으로 대량생산하고 있다. 한국실마스타는 미케니컬 실, 금속벨로우즈 세계최고기술을 확보하고, MIS, EIS, ERP 등과 ISO9001, PQP, SPC 등의 세계최고수준의 운영시스템과 품질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회사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하고 있다.
□ 향후, 회전기계의 고성능화, 대형화, 고신뢰성화 등으로의 대응, 새로운 고성능 재료의 개발․실용화, 트라이볼로지 및 실 기술의 진보 등을 통해 미케니컬 실의 상용화 조건범위 확대에 많은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의 산업설비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 다양해지는 사용 유체에 적합한 소재의 선택 및 개발은 미케니컬 실 업계가 해결해야할 가장 중요한 임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