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특성과 사용방법(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Super Engineering Plastics)
- 전문가 제언
-
□ 구조용 및 기계부재에 적합한 고성능 플라스틱으로서 자동차부품, 기계부품, 전기, 전자 부품의 기계적 부품을 대체하는 공업적 용도에 사용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EP)은 100도 이상의 내열성을 갖는 범용 EP와 내열성이 우수하여 150도 이상의 고온에서도 연속 사용할 수 있는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s)으로 분류된다.
□ 전기 전자분야와 기계분야 등 넓은 범위에 이용되고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수요가 연 15-30%의 비율로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EP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VCR등 신제품의 등장과 자동차용 부품으로 이용하는 EP 시장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자동차와 전자제품용 부품 등을 중심으로 시장의 확대가 기대되며 수요 신장률도 10%를 넘는 성장이 기대된다.
□ EP 제품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기계적 강도 크기, 내약품성, 내후성, 장기내열성 등의 주변 환경에 대한 내구성, 절연성과 난연성 그리고 가공성과 칫수 정밀성 등의 기본 물성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제품 가격에 차이가 많기 때문에 Cost/Performance를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인 소재 평가방법이다.
□ 본문은 대표적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Thermoplastic PolyImide (TPI), PolyEtherEtherKetone (PEEK) 및 하이 EP의 대표인 PolyPhenyleneSulfide (PPS)에 대하여 각 재료의 기계적 특성, 마찰마모 특성, 성형성, 용도 등 기본적인 특징과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각 수지는 자체로 우수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배합제의 종류, 사용량에 따라 그 특성이 개선 변환되는 사례를 실례로 소개하고 있다.
□ 300도 정도의 고온에서 사용가능한 EP의 개발은 금속제 기계부품의 대체를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수요량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EP 수지와 각종 배합제, 첨가제의 국산화 속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 저자
- Yoshio OKI ; Takumi HAYASHI ; Takuya ISHI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9(7)
- 잡지명
- 트라이볼로지스트(A0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67~572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