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제조와 압축공기- 제균 에어 필터에 대하여

전문가 제언
□ 압축공기는 산업이 발달하면서 그 용도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광범위하여 졌다. 특히 청정도와 위생을 중요시 하는 반도체산업, 정밀 산업 및 제약과 식품산업에서는 원료라 할 정도로 압축공기의 품질이 중요하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양질의 순수한 압축공기를 값싸게 다량으로 얻을 수 있느냐가 과제이다.

□ 압축공기 중에는 미립자 (진애), 수분, 유분(오일 미스트) 및 세균이 존 재하는데, 제조공장에는 기계 자체에서 발생하는 불순물이 합해져서 더욱 심각하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여과인데, 여기에 사용할 수 있는 필터의 종류는 처리 용량과 원료 공기의 품질에 따라 다르나 350 L/min~25㎥/min까지 12종이 있으며, 제균 효율은 99.99999이다.

□ 필터의 수명과 초기설치비용 및 운전비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여과해야할 대상(미립자, 수분, 오일, 세균)에 따라 압축공기의 설치 환경을 세심하게 설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세균을 여과해야할 경우, 자외선살균 장치와 여과시스템을 병용하여 설치하고, 미립자나 유분은 프리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메인필터의 부하량을 줄이고, 수분은 압축공기 출구에 에어 드라이어를 설치하여 제어하거나 응축수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자체 오염을 막기 위하여 콤프레셔의 공기 유입구 주변을 청정하게 관리하고, 압축공기의 배출구를 실외까지 연장시켜 배출된 공기가 재유입되지 않게 해야 한다.

□ 압축공기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위하여 차압계를 설치하거나 정기적 교환 시기를 설정하여 필터를 적당한 시기에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활성탄 필터는 수분관리가 안되면 성능이 약화되거나 수명이 단축된다.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KGMP와 HACCP제도가 시행되고 있어서 식품이나 제약업에 종사하는 전문가는 헤파필터, 울트라 헤파필터 등 여러 가지의 공조용 공기필터를 사용한 경험이 많으므로 압축공기의 필터관리나 선택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Iguchi Junnosuk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1(7)
잡지명
식품기계장치(L131)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0~78
분석자
엄*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