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트릭스 인증기술의 동향 :(Special Issue) Advances in Biometric Identification : (Perspective) Trend of Biometric Security Technology
- 전문가 제언
-
□ 인터넷이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으면서 개인 인식을 위해 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하고 있으나, 망각과 노출 문제에 대한 대비를 위해 공인인증서 발행이나 스마트카드를 이용하는데, 이 또한 암호나 비밀번호를 채택하고 있어 궁극적으로 생체인식시스템이 거론되고 있다.
□ 생체인식은 이미 상당부분 보편화되어, 미국은 9.11테러 이후 도입 확정하고 있고, 유럽은 2006년부터 여권에 지문, 홍채, 얼굴인식 등 디지털 신원자료를 의무적으로 입력할 예정이며 전 세계가 최종적으로는 전자여권을 목표로 하고 있는 중이다.
□ 생체인식시스템 가운데 지문이나 얼굴인식시스템은 상품화 되어 있고, 정맥인식이나 홍채인식에서 향후에는 DNA 인식까지 예정되어 있어서, 여러 시스템을 복합 응용함으로서 신뢰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 본문의 일본은 생체인식기술을 중점 육성함으로서, 10년 장기불황의 타개와 제조업 부활의 계기로 삼고 있어서 우리에게는 매우 깊은 의미를 던지고 있다.
□ 우리나라도 기술 수준은 세계적이어서, 얼굴인식 보안시스템 경우에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은 국제특허 출원 중으로 오차나 정확도 문제도 해결되어 해외수출도 추진 중인데, 업체 난립에 따른 기술인증제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 이러한 생체인식에서는 거부감과 함께 개인정보 유출문제가 해결과제로서, 우리나라도 국제표준화에 적극 참여하여 경쟁력 있는 휴대폰 기술을 기반으로 세계시장에서 선점할 수 있도록 관련 업체와 정부가 공동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본다.
- 저자
- Yoichi SE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43(7)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33~538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