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순냉매액 윤활에 의한 하이브리드 세라믹 베어링(Hybrid bearings lubricated with pure refrigerant liquid)

전문가 제언
□ 공조 및 냉동용 회전 압축기에는 하이브리드 세라믹 베어링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주요 원인은 압축기의 운전 중에 냉매 · 용해유의 용해비가 변화할 때 세라믹 베어링의 내열성, 내마모성에 따라 냉매 윤활에서 베어링 수명이 연장되기 때문이다.

□ 이와 같은 현상은 베어링 강제로 제조된 베어링은 접촉면에 형성되는 유막이 극히 얇아서 하이브리드 세라믹 베어링에 비해서 베어링의 조기 마모 현상을 일으키는데 기인한다.

□ 한편 압축기의 운전 중에 냉매 · 용해유의 용해비가 변화할 때 베어링의 손상에 대한 개선 대책 수립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윤활 시스템으로부터 용해유를 제거하고 순냉매액(PRL)으로 대체 사용하고 있으나, 순냉매액은 윤활 성능이 부족하므로 윤활유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이브리드 세라믹 베어링 설계 시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 베어링 캡(bearing cap) 재료와 냉매의 화학적 호환성
- 베어링 캡 재료의 선택은 주로 내약품성에 의해서 결정되고, 그의 낮은 마찰 특성에 따라 수지로 만든 캡이 주로 사용되며, 널리 사용되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수지 재료는 순냉매액(PRL) 윤활에서는 마모 특성과 내열 온도에 한계가 있으므로 높은 내약품성을 나타내고, 고온에서 견딜 수 있으며, 기계적 특성의 손실이 적고, 재료의 열화가 없는 열가소성 고온 수지를 베어링 캡으로 사용할 것

○ 충분한 냉각 상태를 보증할 수 있도록 베어링 설계

○ 장기간 베어링에 침투할 가능성을 갖는 순냉매액 화학적 첨가제의 공격성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베어링 설계

○ 경계면의 충분한 분리와 능동적으로 순냉매 윤활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
저자
Yasushi ONISHI ; Guillermo MORALES ; Antonio GABELLI ; Chalotte VIEILLARD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32(7)
잡지명
터보기계(B517)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87~394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