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 베어링(Gas Bearings)
- 전문가 제언
-
□ 미국은 1970년대에 고속회전・소하중 터보기계용 소형기체베어링이, 1990년대 후반 이후에는 소형가스터빈엔진용 대형베어링 개발이 목표였다. 최근, 소형가스터빈엔진과 소형디젤엔진용 터보차저 등의 응용 검토가 시작되었으며, 2010년경에는 가혹환경 하의 중・대형엔진용 대형베어링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Nippon Sanso는 공기분리장치용으로서 동압기체베어링/자기베어링의 하이브리드 베어링 개발로 베어링가스 소비를 없애 종래의 정압 기체베어링식 보다도 전력원단위를 저감했으며, 실용화를 위한 성능평가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Oiles는 Nara현에 오일리스 베어링 전용공장 완성으로 소재부터 가공・조립까지의 일괄생산으로 고정밀도 유지가 가능해졌으며, 독자기술 확보로 종래품에 비해 고부하능력 구비, 콤팩트 설계, 적용범위 확대 등을 이루었다. 현재 생산능력은 연간 2,000억엔이며, 매상고는 2003년 260만엔이며, 2005년 1,000만엔을 예상한다.
□ KIST는 5만rpm의 고속회전기에 적용한 결과 진동크기가 일반적 포일 베어링에 비해 9배 감소, 10년 이상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무급유 점탄성 공기포일베어링」을 개발했다고 2004년 3월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다양한 고속회전 기기로의 적용분야 확대, 폐윤활유 처리비용 절감 및 환경오염 감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IST는 이 기술에 대해 6건의 국내외 특허를 등록했으며, (주)경주전장에 관련기술을 이전해 올 하반기 고속모터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주)예원테크는 공기정압베어링 사용으로 80,000rpm 이하에서 1μm, 125,000rpm 이상에서 5μm이하 회전정밀도의「모터 내장형 에어 베어링 스핀들」을 세계 3번째로 개발(2001년 12월 31일)하여 다이싱 스핀들 수입대체 약 1,500만 달러, PCB 드릴링 스핀들 수입대체 약 3,500만 달러를 달성하였다.
□ 차세대 주요기술인 소형터보기계의 개발을 위해서는 베어링 강성해석을 통한 설계기술, 회전축의 강성 및 진동 설계기술시스템 개발, 고속회전 시의 고효율 냉각시스템 개발 등, 기체베어링 관련 심층적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 저자
- Shigeka YOSHI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2(7)
- 잡지명
- 터보기계(B51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05~412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