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펌프용 무급수 베어링의 기술 동향(Recent Technologies of Pump Bearings without Lubricating Water Supply)

전문가 제언
□ 강우(降雨) 정보 등에 근거하여 빗물이 펌프장에 유입하기 전에 미리 펌프를 시동해 배수하는 선행대기 운전펌프는 장시간 무급수 운전을 위한 베어링 재료 개발과 적정재료 선택이 중요하다.

□ 베어링 재료로서의 플라스틱은 자기윤활성이 우수하며, 드라이분위기에서의 기동시의 접촉운동에 대해 유리하나, 경도가 낮아서 배수중의 이물질에 의한 마멸을 배려할 필요가 있다. 단체보다는 각종의 충진재, 섬유, 직포 등의 복합으로 물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접촉운동 특성이 우수한 세라믹스를 베어링으로 하는 경우는 편접촉이나 충격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 Kubota의 입축 사류·축류펌프(구경 2000mm 이하, 전양정 20m 이하) 수중베어링은, 질화규소 세라믹스 본체, 균일한 밀도의 신제법 특수합금 슬리브, 충격하중 대응용 내열성 불소고무 완충재 채용 등으로, 60분간의 무급수운전이 가능하며, 2003년 6배수기장에 15대를 보급하였다. Ebara는 1999년 베어링 무급수화에 의해 배수펌프설비의 간편화가 가능한 구경 500~2800mm의 전속전수위(全速全水位) 입축 사류형의 무급수화 선행대기 운전펌프를 개발하였으며, 800mm 입축 사류펌프의 자체시험에서 설비비 1.67% 저감, 공기(工期) 8.33% 단축이 가능하였다. 한편 Ishikawajima-Harima중공업은 베어링 본체에 폴리이미드수지와 탄소섬유의 복합재, 축 슬리브는 스테인리스에 크롬카바이트 용사(溶射)재를 사용하여 접촉운동속도 4.5m/s, 면압 0.1MPa로, 드라이운전 2시간과, 1시간 운전 후 급랭하는 시험을 50회 실시해 내구성을 확인하였으며, 규사와 관동지방 화산재를 200ppm 혼입한 흙탕물 속에서 100시간 운전에 성공하였다.

□ 무급수화를 위한 베어링에는 드라이조건이나 이물수중조건 등 가혹한 분위기에서의 내소착성, 내마멸성이 요구된다. 기계제조회사 및 재료생산사는, 펌프 사용환경 등의 관련변수를 면밀히 고려한 고성능 베어링재료의 개발과 적정재료의 선택으로 이들의 트라이볼로지 성능개선을 이루어 배수펌프설비의 사용자에게 제품의 기능 및 가격 모두를 만족시켜야 할 것이다.
저자
Kazuhiko YAMASHITA, Kazuo TAKAHASHI, Toshiyuki OSA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32(7)
잡지명
터보기계(B517)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20~425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