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그리드와 기상데이터의 기상중개 기술(Data Grid and Meteorological Data Mediating Middleware in Agriculture)
- 전문가 제언
-
□ 농업에 관련된 기상, 토양, 작물, 병해, 시황 등의 데이터는 각기 다른 조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 현재의 문제점이며 다른 분야에서 나오는 데이터그리드를 통합 정리하여 통일된 한곳으로 종합하여 정리를 하는 것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일본 농림수산성에서는 현재 농업기술 지원시스템인 IT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므로 향후 국내의 농업지원 추진방향에 참고가 되는 자료가 될 것이다.
□ 최근 가격이 싼 무선LAN방식의 필드서버에 의한 진단시스템이 보급됨으로서 사용자는 확장일로에 있으나 이에 대응하는 수준은 천차만별이다. Metbroker(기상중개 진단시스템)에 의한 응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기상데이터를 위시한 농업관련 진단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요를 계속 확장시키는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 기상중개 진단시스템(MetBroker), 지도데이터(ChizuBroker) 및 표고(標高)데이터(DEMBroker)를 복수(複數) 데이터베이스로 하여 동시에 접속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여기에 공간내삽 기능과 국제적 다언어화 기능을 포함시켜 종합적인 Web 서비스화 하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장기목표로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정확한 기상치를 얻기 위해서는 기상중개 관측점의 수를 증대시켜야 하나 경제적인 이유로 어려움이 많다. 그러나 공간내삽 기능을 원활히 활용하면 기상중개 관측점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필드서버 등을 증가시켜 작동시킴으로써 목표를 쉽게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술 확립이 필요하다.
- 저자
- Seishi NINOMIY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66(4)
- 잡지명
- 농업기계학회지(A17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0~15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