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드서버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와 유비쿼터스 환경(Advanced Wireless Sensor Network and Ubiquitous Computing with Field Servers)
- 전문가 제언
-
□ 고밀도로 생육을 촉진하고 병해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농업의 정보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관측해 온 강우량뿐만 아니라 기온, 습도, 일조량, 토양성분, CO2농도 등과 같은 환경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비하여 다기능이면서 저렴한 가격의 전자계측기술과 장비를 소개하고 있어 향후 추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필드서버에 대한 원거리 장기운용실험은 일본, 미국, 태국, 덴마크, 중국, 한국, 캐나다, 타이완 등에 설치되어 연간 수많은 데이터가 수집되고 Web상에 제공되고 있다. 또한 WMO(세계기상기관)의 파일럿 프로젝트로 평가실험 중에 있고 일본‧중국정부와의 공동연구로 중국내륙의 각지에 설치가 예정되고 있어 설치대수가 비약적으로 증대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에 대비하여 국내에서도 필드서버에 대한 국제공동참여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종래에 사용해 오던 ADSL 등의 광대역 회선대신에 필드서버를 사용하면 엄청난 장점이 있다. 광대한 영역에 다수의 기기를 싼 가격으로 설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인터넷 이용서비스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필드서버의 센서와 무선 LAN환경을 활용하면 농업기계의 자율주행시스템을 저코스트화로 실현시킬 수 있다.
□ 현재 필드서버에 내장되기 위한 병충해 진단용 센서의 연구가 일본 농림수산성 생물기능 프로젝트로 추진하고 있고, 금후 필드에서 진단할 수 있는 정보는 증가일로에 있다고 생각된다.
- 저자
- Masayuki HIRAFUJ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66(4)
- 잡지명
- 농업기계학회지(A17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9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